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0]다원이
read 1733 vote 1 2018.08.21 (00:53:37)

선문답 - 질문에 답하려 하면 실패. 물었으니 답해야 한다는 이 프레임에 빠지면 즉시 패배. 묻는다는것 그 자체를 복제하는게 갈 길이다.
선승이 물을 때는 답을 바라는 게 아니라, (너같은 초짜에게 답을 바라지도 않는다 마는) 너도 나처럼 깨달은 경지에서 물음을 던지는 입장이 되어야 한다. 라고 외치는 것. 그걸 모르고 질문에 대한 정답을 맞추려 하는 순간, (스승이 이미 예견한 대로) 당신은 이미 졌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8.21 (09:11:18)

거대한 산을 작은 플라스틱 모형에 잡아가두면 곤란합니다.

물음에 답하려는 무의식을 보라는 관점은 하나의 단서에 불과합니다. 

그게 작은 힌트 하나는 되겠지요.


복제는 깨달음이 아니라 모방이고 표절입니다.

복제를 할 수 있는 복제의 자궁을 건설해야 깨달음입니다.


셰익스피어 소설을 읽고 그것을 복제하여 적과 흑을 쓰면 깨달음이지만

셰익스피어 햄릿을 읽고 햄릿 2부나 속편을 쓰면 그냥 표절입니다.


산이 '야 나는 얼마나 높냐?' 하고 물으면 

에베레스트 형님은 높이가 8848미터인데요? <- 이렇게 받으면 오백방을 맞아야 합니다.


질문에 답을 했으니까 질문의 관점을 획득하지 못한 거지요.

바다가 '야 나는 얼마나 깊냐?' 하고 받아야 좀 아는 거지요.


산과 바다는 대칭을 이루어 호응이 됩니다.

질문에 답하지 않고 대칭을 이루어 호응시키는 방법으로 완성해야 합니다.


그런게 없이 그냥 따라하는건 호응이 아니지요.

시인이 댓구를 쳐도 운을 띄우면 라임을 맞추어야 합니다.


그림의 반을 그리면 나머지 반을 채워서 완성시키는 것이 호응입니다.

그냥 똑같이 따라하는건 어린이 행동입니다.

[레벨:10]다원이

2018.08.21 (15:15:09)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92 ΛCDM 모형 르네 2019-09-23 1750
391 구조론 목요강론회 image 2 ahmoo 2015-10-15 1750
390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9-19 1750
389 존 제이콥 에스더 (모피상인) 눈마 2019-04-30 1749
388 오늘 강남 독서 모임 있습니다. 챠우 2016-09-10 1749
387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7-25 1749
386 비트코인에 대한 큰 착각 1 부루 2018-01-11 1748
385 구조론 독서 모임 공지(토요모임) image 5 챠우 2016-10-07 1748
384 [보도기사] 핵발전소, 국민동의 받아야 수원나그네 2016-07-13 1747
383 비문증이란... TED_ed image 3 텡그리 2018-10-25 1744
382 토요 춘천 팟캐스트 모임 재공지 image 3 김동렬 2017-11-24 1744
381 안희정이 민주당 대표로? 2 스마일 2017-12-30 1743
380 당대표 이해찬 !! 1 다원이 2018-08-25 1742
379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8-22 1741
378 개발도상국의 환율게임 현강 2019-07-29 1740
377 부암동출범.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7-03-16 1740
376 입국제한-금지국가들 수출입제한 1 펄잼 2020-03-03 1738
375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image 3 오리 2020-01-09 1738
374 122회 4.16 Boston Marathon 대회 참가 4 wisemo 2018-04-17 1738
373 새해맞이 홍어 도전 벙개 image 3 수피아 2019-01-27 1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