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220 vote 0 2016.01.22 (16:07:04)

     

    깨달음은 1인칭이다. 타자화 될 수 없고 대상화 될 수 없다. 강건너 불보듯 할 수 없다. 밖에서 담너머로 바라볼 수 없다. 나와 일체가 되어야 한다. 기수는 말을 신중하게 다루어야 한다. 운전자는 자동차를 자신의 신체로 여겨야 한다. 우리가 진리라는 자동차, 역사라는 말, 자연이라는 한 배를 탔을 때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다. 발전하는 기업, 팽창하는 조직, 불어나는 식구, 사랑하는 사람, 팽팽한 긴장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것은 1인칭이 된다. 자연은 에너지에 의해, 사회는 권한에 의해, 일은 연동에 의해, 마음은 존엄에 의해 1인칭이 된다. 그러므로 분별하여 아는 지식으로는 부족하고 운전자가 차를 다루듯이, 기수가 말을 다루듯이 살살 꼬드겨 다룰 줄 알아야 한다. 그것이 깨달음의 세계다. [생각의 정석 38회]


    깨달음은 일의 원리에 태운다. 일은 1인칭이다. 기승전결로 일을 연결하며 원인과 결과를 호응시켜 1인칭의 비대칭으로 대칭구조의 이분법적 분리를 극복하고, 지식의 분별를 극복한다. 1인칭은 나와 구분되는 남이 아니라는 거다. 내가 손으로 주물러서 다루는 내 행위의 대상이 아니라는 거다. 내가 내 몸을 만지듯이 사랑하는 사람은, 운전하는 사람은, 말을 탄 기수는, 한 배를 탄 사람은, 진리와 자연과 역사와 진보와 문명을 에너지로 일원화 시키고, 권한으로 일원화 시키고, 기승전결로 일원화 시키고, 존엄으로 일원화시켜야 한다. 타자로 여기고 대상화 할 때 말이 눈치챈다. 그럴 때 말은 서투른 기수를 낙마시킨다.



   aDSC01523.JPG


    2인칭이면 이미 주도권 내주고 지고 들어가는 겁니다. 곧 죽어도 내자식이라고 여겨야 합니다. 안철수도 내 자식, 박근혜도 내자식, 김정은도 내자식, 아베도 내자식이라고 여겨야 합당한 전략이 나와줍니다. 마음으로 이겨야 실제로도 이깁니다. 기승전결의 기에 서서 승과 전과 결을 거느려야 합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1.22 (17:02:28)

[생각의 정석 38] 지방선거 총정리, 야당의 패배와 야권의 승리

http://gujoron.com/xe/484523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479 사랑 95, 자신을 죽이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6-04-12 5756
3478 형식이 내용을 규정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4-11 8253
3477 사랑 94, 좌판 벌이지 말라. image 1 김동렬 2016-04-11 5463
3476 페미니즘에 대한 다른 관점 image 김동렬 2016-04-09 5914
3475 여자뇌와 남자뇌 image 1 김동렬 2016-04-08 6728
3474 사랑 93, 예수의 언어 image 2 김동렬 2016-04-08 5609
3473 다음 단계로 나아가라 image 김동렬 2016-04-07 5747
3472 사랑 92, 줄 서지 마라 image 1 김동렬 2016-04-07 5358
3471 사랑 91, 자기 언어를 얻어라. image 1 김동렬 2016-04-06 5678
3470 탈레스, 니체, 공자 image 1 김동렬 2016-04-06 5765
3469 잔다르크의 성공과 실패 image 김동렬 2016-04-05 6106
3468 사랑 90, 사실주의가 답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4-05 5243
3467 사랑 89, 아름다움에 도전하라 image 1 김동렬 2016-04-04 5303
3466 조절되는 것이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3 5419
3465 아름다워야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2 5358
3464 사랑 88, 관측의 문제 image 1 김동렬 2016-04-01 5234
3463 의사결정원리 image 3 김동렬 2016-03-31 6161
3462 사랑 87, 역사의 정답 image 1 김동렬 2016-03-31 5210
3461 사랑 86, 역사자랑은 수치다 image 3 김동렬 2016-03-30 5449
3460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3-29 5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