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648 vote 0 2015.08.27 (18:20:32)

14.jpg

 


   
    간단한 언어는 ‘A가 B다.’ 의 구조로 되어 있다. 나라마다 문법이 다르나 본질은 같다. ‘=’로 나타낼 수 있다. ‘사과는 맛있다.’ ‘배가 고프다.’로 말해진다. 상대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자기 기분을 털어놓는 수다쟁이 언어다.


    이런 말은 옆에서 누가 대꾸해줘야 한다. ‘배가 고프다.’고 말하면 ‘점심 뭐 먹었니?’하고 물어줘야 한다. 미완성의 불완전한 언어다. 그러나 언어는 본래 이렇게 시작한다. 어쨌든 언어는 명사와 동사 혹은 주어와 술어가 대칭을 이룬다.


    하나의 대칭이 하나의 ‘=’를 성립시킨다. 말할줄 아는척 하는 사람은 조건문을 쓴다. 비교판단이 가능하게 한다. ‘= =’로 나타낼 수 있다. ‘옆집 애는 백점인데, 너는 왜 0점이니?’ 하는 식이다. 옆집 애의 백점과 너의 0점을 대칭시켜 보인다.


    정치인이나 평론가의 언어가 이런 식이다. 이런 식으로 비교판단하게 하면 논리적으로 보이지만 매몰차다. 따지기만 잘 하고 답을 내지는 못한다. 반드시 반박당한다. 모든 비교판단은 상대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본능적으로 저항감 느낀다.


    이 방법으로 토씨만 바꾸어서 되치기 들어온다. 깨달음은 아니다. 깨달음은 느낌으로 아는 것이다. 완전성의 느낌을 가져야 한다. 그것은 두 개의 이퀄이 큰 하나의 이퀄에 담겨진 것이다. 이쪽이 옳다거나 저쪽이 옳다며 선택하면 곤란하다.


    누가 이기느냐가 아니라 경기장에 관객이 몇이나 모이냐에 주목해야 한다. 둘을 하나로 묶어내는 경기장이 두 팀의 대칭으로 일어난 불안을 해소한다. 논리적인 문장은 ‘= =’의 형태이나 대칭을 이룬 두 이퀄이 분리되어 불안한 느낌을 준다.


    둘을 통합하는 이퀄이 추가되어야 한다. ‘산이 높으면 강은 깊다.’ 여기서 끝내면 안 된다. 하나의 비가 산을 깎아 강을 이루니 둘을 연결한다. 옛시조의 종장은 초장과 중장이 일으킨 불안한 대칭을 통일하여 해소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언어에 계급이 있다. 맞는 소리를 하는지 허튼소리를 늘어놓는지는 순간에 판단된다. 언어 안에 대칭이 있다. 전제 없이 진술을 휘두르는 초짜는 몽둥이로 두들겨 내쫓아야 한다. 조건을 제시하고 진술로 대칭시키는 자는 글자 배운 자다.


    그러나 언어를 무기로 남을 해칠줄 알 뿐 스스로 완성할 줄은 모른다. 언어 안에 칼 같은 긴장이 있다. 긴장을 일으키는데 능할 뿐 연주할 줄은 모른다. 내 안에 언어가 갖추어졌을 때 비로소 세상을 향해 발언할 자격을 얻는다. 발언권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5.08.27 (19:54:02)

많이 느끼는 글입니다.

두고 계속 읽고싶고, 많이 이야기해오셨던 내용이다 싶지만 더 깊게도 듣고 싶습니다.

[레벨:10]다원이

2015.08.27 (22:13:23)

깊이 새깁니다.
[레벨:7]새벽이슬2

2015.08.29 (21:56:16)

1인칭 주체적관점으로 세상을 보는 거와 같은 건가요?

[레벨:3]파워구조

2015.09.11 (14:12:00)

조건(큰 전제)에 이어지는 작은 진술들의 대칭.
고급 언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_ _)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321 사랑의 정석 30, 철학의 의미 1 김동렬 2016-01-12 5210
3320 공자의 권위주의 대 노자의 무정부주의 image 1 김동렬 2016-01-10 5907
3319 공자와 노자 김동렬 2016-01-09 5606
3318 깨달음은 돈오인가 증득인가? 7 김동렬 2016-01-09 5927
3317 공자와 소크라테스 3 김동렬 2016-01-08 6266
3316 사랑의 정석 29,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6-01-08 5106
3315 구조론 철학사전 마지막 김동렬 2016-01-07 5353
3314 사랑의 정석 28, 불행의 이유 1 김동렬 2016-01-07 5084
3313 구조론 사전 1 김동렬 2016-01-06 5080
3312 사랑의 정석 27, 강자의 자유 1 김동렬 2016-01-06 5317
3311 구조론 사전 계속 김동렬 2016-01-05 5086
3310 사랑의 정석 26, 창의는 훔친다. 2 김동렬 2016-01-05 5309
3309 구조론 사전 8 김동렬 2016-01-04 5416
3308 사랑의 정석 25, 왜 사는가? 1 김동렬 2016-01-04 5023
3307 사랑의 정석 24회, 철학이란? 1 김동렬 2016-01-01 5291
3306 깨달음은 패턴을 복제하는 능력이다 image 김동렬 2015-12-31 5137
3305 사랑의 정석 23회, 길한 점괘는? 1 김동렬 2015-12-31 5085
3304 사랑의 정석 22회 1 김동렬 2015-12-30 4980
3303 복제능력은 언어감각에 있다. 2 김동렬 2015-12-30 5301
3302 사랑의 정석 21회 김동렬 2015-12-29 5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