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91 vote 0 2015.12.10 (17:32:30)

     

    관점이 있다면 생각할 수 있습니다. 관점이 없다면 먼저 관점을 지어야 합니다. 생각은 운전과 같습니다. 하지만 다들 차도 없이 운전하겠다고 덤비는 판입니다. 관점 없이 생각할 수 없습니다. 생각하기 전에 먼저 생각의 집부터 지어야 합니다. [생각의 정석 3회]


    관점은 나와 타자의 구분이다. 황당한 것은 ‘친구로서 충고하는데 말야.’ 하는 것이다. 어색한 말이다. 친구라면 충고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나라를 ‘내나라’로 여기는 사람도 있다. ‘나라가 네 거냐?’ 천국 보내준다고 말하면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남의 동네를 왜 가냐? 미쳤구만.’ 가장 한심한 것은 ‘다 너 잘되라고 하는 말이다.’라는 표현이다. ‘너’라고 말하는 순간 관계는 파탄이다. 나와 타자 사이에는 하늘과 땅 만큼의 거리가 있다. 아찔하다. 세상은 내 것이 아니다. 나 역시 내 것이 아니다. 몸도 마음도 내 것이 아니며 오직 나의 의사결정만이 진실하다. 세상의 맞은 편에서는 결코 세상을 볼 수 없다. 자동차의 반대편에서는 결코 자동차를 운전할 수 없다.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내 눈이 바라보는 방향을 일치시켜야 한다. 자동차를 내 몸의 일부로 여겨야 운전할 수 있다.



DSC01488.JPG


    이런 말은 액면 그대로 들으면 안 됩니다. '친구한테 충고하면 안 되는구나.' <- 이건 아니지요. 깊이 생각하시길. 


[레벨:30]솔숲길

2015.12.10 (20:21:31)

[생각의 정석 3회] 로또에 당첨되고도 망하지 않는 방법

http://gujoron.com/xe/371573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5.12.11 (12:57:42)

친구사이에 충고라
자세한 해설 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12.11 (13:25:59)

뭘 보고 친구라고 하는지 모르겠으나

대신 죽어줄 수 있는 사람이 아니면 친구가 아니지요. 


동창회 명부 뒤져서 일일이 전화하고 다니는 넘은 

친한척 엉기곤 하지만 친구가 아닙니다.


물론 친구라는 단어를 국어사전에 찾아보면 

안면만 있으면 친구라고 해놨겠지만 


구조론은 진지한 이야기 하는 곳입니다.

충고해야할 상황이면 이미 거리는 하늘과 땅 차이로 벌어진 겁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5.12.11 (20:05:32)

친구가 뭔지 진작에 알았으면, 인생을 덜 낭비했을 텐데...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18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457
3425 답은 만남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5138
3424 사랑 66, 집단이 행복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5040
3423 공자와 예수, 소크라테스 image 2 김동렬 2016-03-02 6096
3422 사랑 65, 한국인은 대접받아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02 5165
3421 깨달음은 위대한 만남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1 5187
3420 곽거병의 성공과 위청의 실패 image 김동렬 2016-03-01 7890
3419 깨달음으로 이겨라 image 김동렬 2016-03-01 5456
3418 사랑 64, 지성은 호랑이를 이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1 5073
3417 중국을 망친 손자병법 image 2 김동렬 2016-02-29 6528
3416 공자 끝, 말을 알아야 사람을 안다 image 1 김동렬 2016-02-29 5695
3415 사랑 63, 개는 깨달을 수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2-29 5195
3414 역사는 유목민이 만들었다 image 4 김동렬 2016-02-27 6807
3413 말을 똑바로 하면 깨달음이다 image 3 김동렬 2016-02-26 5272
3412 사랑의 정석 62, 소들의 평상심 image 1 김동렬 2016-02-26 5150
3411 공자 22, 교언영색은 새누리다 image 김동렬 2016-02-26 5651
3410 중용 끝, 효는 개인주의다 image 김동렬 2016-02-25 5475
3409 공자 21, 나면서 아는 것이다 image 김동렬 2016-02-25 5145
3408 사랑의 정석 61, 산은 산 물은 물 image 1 김동렬 2016-02-25 4998
3407 공자와 노자 사상의 뿌리 image 김동렬 2016-02-25 5685
3406 공자 20, 안 되는 줄 알면서 image 6 김동렬 2016-02-24 5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