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장애학생을 잘 돕는 학생을 표창하니까 추천해달라는 메시지를 받고, 표창을 쓰려던 중에...
반아이들이 과반수가 넘게 표창대상으로 지지하는 아이가 있어서 그 아이 표창 공적조서를
아이들과 함께 썼다. 표창받는 본인은 좀 낯뜨거울 수 있겠으나, 애들이 도와줘서 구체적인 내용으로
금새 간략하게 공적조서를 썼다.
한 두가지 더 써줄 것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순간 번뜩 깨닫는 것이 있었다. 아이들이 지적 장애 아이가
등교하고, 하교할 때 함께하고, 체육시간에 연습을 도와주고, 공부시간에 돌아다니지 않게 해주고,
식판을 반납할 때 스스로 못하는 부분(잔반을 국통에 넣을 때) 도와주고... 하여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옆에서 기다려주고, 함께 해야 할 수 있는 것은 안내해주고, 못하는 것은 직접 도와주기도 하고,
모르는 것은 알려주기도 하는데....
그런데 한가지 안한 것이 있었다.
그렇게 아이들이 존중과 배려와 동행을 했건만 안한 것이 있다니,
그게 ...무엇이었을까?
그건 바로 놀기다.
어느 누구도 쉬는 시간에 그 학생과 놀지 않았다.
좀더 직설적으로 표현하면 놀아주지 않았다.
아이들은 놀면서 배운다. 놀면서 자기를 인식하고, 상대방의 장점을 흡수하고,
상호작용 속에 인간관계의 깊이와 폭을 넓혀간다. 물론 자기 이름도 못쓰는
아이에게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 생각할 수도 있으나, 그 아이는 알아듣는 많은 단어가 있고,
음악 시간에 명랑한 노래를 부를 때 그 누구보다도 밝은 표정과 몸짓으로 음악을 즐긴다.
이건 나도 못하는 거다. 다들 표현 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만 주변을 의식하고 머뭇 거리다
기회를 놓친다. 장애 학생에게 내가 배운다. 그땐 뒤통수를 맞은 것 같다.
다시 돌아와서 도와주기보다 놀아줘야 하고, 놀아주기 보다 그냥 놀면 된다. 노는게
그 아이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학교 생활을 즐겁게 만든다. 아이가 자란다. 이제 두 달,
나도 가끔씩은 그 학생과 놀아야겠다. 놀고 싶지 않은 사람 없으니까.
불현듯 공부 시간에 돌아다니지 말라고 하고,
물레방아 테이프 가지고 장난치지 말라고 한게 미안해진다.
쉬는 시간에 충분히 놀지 못했으니 내 학생이야 공부시간이 오죽 답답했으랴...
오늘은 아무래도 좀 침착하게 하루를 보내야 겠다.
걔랑 노는거 빼곤.
맞습니다.
특수교육선정 학생들.
함께 놀아 줄 친구를 얼마나 원하는지 몰라요.
성교육으로 많은 장애학생들을 만나는데요
"선생님, 저는 왜 친구가 없어요?"
"저도 이다음 이성친구를 사귈 수 있어요?" 등등
사람과 사람으로 관계를 맺고 싶어하는 애타는 마음이 보입니다
특히 경계선 지적장애 학생들이요 ^^
이상우 님, 당신을 응원합니다!!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