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359 vote 0 2015.06.25 (00:09:42)

193.jpg 194.jpg


202.jpg

192.jpg

203.jpg

 196.jpg 197.jpg 198.jpg 199.jpg 200.jpg 201.jpg

  

세상을 모두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원리가 있다면 그것은 의사결정원리다. 의사결정은 짝짓기 방법을 쓴다. 짝짓기는 대칭으로 나타난다. 대칭은 토대의 공유에 의해 성립한다. 어떤 대상의 외부에서 에너지가 가해져 내부가 균일해지면 하나가 된다. 숫자 1로 나타낼 수 있다. 1은 짝짓기 방법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는 상태다. 이때 외력의 1과 맞서는 1로 두 개의 에너지 방향이 꼬인다. 둘이 하나를 공유하면 의사결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토대의 공유 상태에서 축을 움직이면 구조의 복제가 일어난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으로 전개한다.


    처음 물레방아를 돌리는 물은 1이 아니다. 물레방아의 회전이 유체의 균일해지는 성질을 획득함으로써 마침내 1이 된다. 1이 되면 바퀴축에 힘이 걸리며, 작용반작용의 일대일 대칭을 성립시켜 토대의 공유를 이루면 구조는 작동을 시작한다. 5회에 걸친 자기복제로 의사결정한다.


   
   


[레벨:10]다원이

2015.06.25 (08:57:41)

그러니까 입자가 된다는건 뭔가 '이거다' 라고 특정할 수 있는, 경계가 있는, 다른것과 구분이 되는 어떤 상태라고 보면 되는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6.25 (10:11:01)

그림자처럼 이거다 하고 특정할 수 있고, 다른 것과 구분이 되는 데도, 입자가 아닌 즉, 자체적으로는 의사결정 불능상태가 있기 때문에 이런 논의가 있는 겁니다. 외부에서 작용하는 에너지를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어야 입자입니다. 반대로 이거다 하고 특정할 수 없고, 다른 것과 구분이 안 되지만 의사결정이 가능한 입자도 있습니다. 빛도 처음에는 입자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미시세계에서는 특정하기 어렵고 구분도 안 되고, 여러가지로 헷갈려서 파동이 아닌가 했는데 외부에서 가해지는 에너지를 처리하더라는 거죠. 그렇다면 입자인 거죠. 순간적으로 입자가 되는 것도 있고 특정한 조건에서만 입자일 경우도 있고 자체로는 입자가 아닌데 주변에 어떤 것이 오면 입자인 경우도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39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774
3746 척력은 있고 인력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7-02-27 13454
3745 행복이 아니라 에너지다. image 김동렬 2017-02-26 12518
3744 행복과 불행 image 3 김동렬 2017-02-25 12957
3743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원한다. image 4 김동렬 2017-02-24 13954
3742 안희정의 소통, 노무현의 소통 image 1 김동렬 2017-02-23 12943
3741 소통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2 18820
3740 신이 있다면 그를 만나고 싶다 image 1 김동렬 2017-02-22 12996
3739 만화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7-02-20 13496
3738 벤처, 어떻게 할 것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0 12571
3737 인류의 뇌가 작아졌다고? image 김동렬 2017-02-17 12355
3736 권력이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7-02-16 13573
3735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image 8 김동렬 2017-02-14 17728
3734 마음이 바래는 것은? image 김동렬 2017-02-13 12962
3733 영화 컨택트를 보고 image 3 김동렬 2017-02-13 13460
3732 포지션을 얻은 다음 버려라 image 3 김동렬 2017-02-12 13151
3731 마음은 안정되려고 하나 image 2 김동렬 2017-02-11 13359
3730 마음의 마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2-10 13309
3729 존재론과 인식론의 구분 image 김동렬 2017-02-09 13467
3728 컨택트 (Arrival, 2016) image 김동렬 2017-02-07 13550
3727 인생은 운명인가 자유의지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05 14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