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거장 리들리 스콧 감독이 연출했다는점이 기대가 됩니다.
영화의 흥행 이런 것보다는
홍상수나 김기덕이 보여준 합리성과 부조리와의 대결이
저예산 독립영화 수준이 아니라
주류에서도 통하는 공식이 만들어지는가입니다.
선악대결로 가면 문학작품을 영화화 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이건 이미 80년대 이전에 다 해먹었고 재료가 바닥.
고수와 하수의 대결로 가는 것은 최동훈 감독이 좀 보여주고 있는데
요즘 좀 뜨는 영화들을 살펴보면 이런 구조가 있습니다.
근래에 매드 맥스가 그런데 잘 나가다가
선악구도 + 지략대결로 퇴행했습니다.
선악구도로 가면 포맷이 만들어져 있어서 작가나 배우의 재량권이 없습니다.
지략대결로 가면 악당이 유리한 점이 있어요.
악당이 뛰어난데 주인공은 더 뛰어나다는 이상한 설정.
악당이 너무 부각되어서 영화가 이상해지는 거죠.
매드 맥스와 같은 컨셉으로 가고도 매끄럽게 이야기를 마무리하려면
특별한 방법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것은 구조론에서 말하는 감각이입(감정이입이 아니라)
돌발상황+뒤뚱입니다.
룰이 없는 상황에서 룰을 만들어가는 거죠.
한 줄 정리
: 성공하려면 남들 안 하는 것을 하라.
조금 풀면
: 비경쟁 분야에서 놀아라.
강단그룹들로서는 죽다가 살아나도 구조론의 깊이를 모른다.
정부의 지원으로 푸로잭트를 수행하는 작금의 관행 하에서는 연구다운 연구가 불가능합니다.
어려운 경쟁을 뚫고 푸로잭트에 선정이 되기도 힘든 일이지만 계획한 연구를 온전히 수행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현실입니다.
분야에 따라 다소 다르기는 하겠지만 연구비를 지급하는 기관들이 집행하는 관행은 대동소이할 것입니다.
연구를 시작하기가 무섭게 결과를 보고하라는 독촉이 빗발치지요.
진행보고소, 중간보고서, 기말보고서, 최종보고서, 등등.
계속해서 연구비를 지원받기 위해서는 그럴듯하게 작품을 만들어야 하고,
연구 결과를 전문학술지 등에 실어야 하고.......
차라리 자비로 본인이 지향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하고, 그 연구의 결과물을 제시하고, 제시된 결과물을 심사하여 연구비를 정산처리하는 것이 자율적이고 독자적인 연구를 위해 필요한 듯 합니다.
오죽하면, 연구비를 지원받고 시간과 요구에 쫒기는 연구는 절대 안하겠다는 연구자들이 나올까요.
노태우 정권 말에도 이런 일이 있었고 새파란 고등학생들도 이런 얘기를 알 정도니 사학비리가 끝이없겠다 싶었고 재단설립자 전재욱도 후에 사법부의 심판을 받았다고 들었습니다. 교육과 복지 분야종교는 공공의 견제, 사외이사를 통한 견제를 받지 않고선 절대 바뀌지 않습니다. 사학법 개정, 이제는 이뤄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