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0840point (97%),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키신저 이후에, 냉전해소 되면서, 미국도 인재수급에 문제를 많이 겪은듯. 애쓰지 않아도 전세계에서 몰려들던 시절이 90-2000년대. 그 정점의 해소가 2008년 리먼브러더스. 다행히 중국옆의 한국은 유탄을 적게 받아서 한국 대기업 급상승. 2008-9년의 리먼브러더스 사태와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가 겹치는건, 한국이, 세계화의 파동에 늦게 도달되기 때문. 한국의 좌파는 노무현을 제물로, 세계화 유탄의 굿을 벌임.
키신저 이후에, 냉전해소 되면서, 미국도 인재수급에 문제를 많이 겪은듯. 애쓰지 않아도 전세계에서 몰려들던 시절이 90-2000년대. 그 정점의 해소가 2008년 리먼브러더스. 다행히 중국옆의 한국은 유탄을 적게 받아서 한국 대기업 급상승. 2008-9년의 리먼브러더스 사태와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가 겹치는건, 한국이, 세계화의 파동에 늦게 도달되기 때문. 한국의 좌파는 노무현을 제물로, 세계화 유탄의 굿을 벌임.
기사에 나오는 앤드류 응이 AI계에서는 꽤 훌륭한 인물이긴 한데,
아무래도 대중에 인공지능에 대한 설명을 할 때는 조심스러운 면이 있는듯.
현재 학계에서 논문이 나오는 추세를 보면 1년 안에 인간을 제낄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