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5]기준님하
read 5260 vote 0 2009.07.29 (06:56:43)


안녕들하십니까 

앞으로 제가 다루어 보고싶은 분야는 경영학, 심리학, 생물학, 화학, 물리학, 수학  등이 있습니다. 이는 학문의 분류상 이름붙인 것일 뿐이지 학문에 접근하는 방식이 각 분야마다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방식이 집단지성에 의한 총괄이론이기 때문입니다. 
 
경영학, 심리학, 생물학 부분은 제가 지금 당장 할 얘기 꺼리가 많습니다. 수학, 물리학, 화학 분야는 지금 제가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제가 추구하는 예술세계에 대해서도 보여드릴 생각입니다. 

우리가 각자 관심갖는 분야에 대해서 글을 쓰면서 보다 정교하고 앞선 구조론을 만들어가도록 합시다. 



제가 회원님들께 바라는 점이 있습니다. 

구조론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글을 써보십시오. 

구조론의 모든 원리를 다 이해하지도 못했는데 글을 쓰기가 어렵게 느껴진다면 처음에는 이 정도만 해보셔도 좋습니다. 

1) 주관을 바탕으로 한 정보의 정의
2) 내가 정의한 요소들의 상대적 관계만들기

다양한 분야를 토론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자주 보도록 합시다.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09.08.03 (09:53:08)

제 이해가 정확하다면, 구조의 파악이란,
1. 수직적구조 (에너지의 흐름)
2. 수평적구조 (단일 단계내에서의 자유도 분배)
로 볼수 있습니다.

Free Body Diagram (FBD)에서 보면, control volume 이라는 '덩어리'를 설정해놓고,
그 외력을 그립니다. 그러니, 2번은 없고, 1번을 두고 힘의 구조를 판단합니다. 힘 (F)가 벡터라고 보면,
모든 방향의 F의 합은 제로라고 설정(이것이 저울)하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316
1758 몸속에는 항체의 유전자를 몇 개로도 나누어 부품화해서 가지고 있다. 4 오세 2012-02-02 3988
1757 기술결정론 vs 도구주의 1 오세 2012-02-12 7622
1756 구조론적 육아법 2 김동렬 2012-02-20 5352
1755 모티브교육으로 가야 한다. ahmoo 2012-02-26 4025
1754 김유신묘 관련 이야기 조금 더 김동렬 2012-03-04 5018
1753 척추동물의 탄생? 4 김동렬 2012-03-06 4332
1752 원시 언어는 존재한다. 1 오세 2012-03-11 4650
1751 최신 심리치료 ACT, 하지만 갈 길이 아직 멀다. 2 오세 2012-03-11 4780
1750 모듈진화의 증거 7 김동렬 2012-03-12 4579
1749 폭력에 대한 구조론적 접근: 폭력의 자궁은 바운더리의 침해. 1 오세 2012-03-22 4128
1748 혈액형별 유명 운동선수 비율 image 4 김동렬 2012-04-03 9582
1747 완벽보존’ 새끼 매머드 발견 image 1 김동렬 2012-04-05 11179
1746 상호작용설이 옳다는 결정적인 증거 image 1 김동렬 2012-04-11 4110
1745 벌인척 하는 벌레 image 4 김동렬 2012-04-16 6286
1744 과학의 25가지 난제들 2 김동렬 2012-04-19 5691
1743 한옥 짓는 순서 2 김동렬 2012-05-07 6503
1742 진화 - 과학의 붕괴 image 1 김동렬 2012-05-17 4518
1741 제민일보 칼럼 - 방향을 이야기하는 교육 3 ahmoo 2012-05-30 3217
1740 진화의 오류? image 10 김동렬 2012-06-06 15718
1739 하나부터 열까지 다 허튼소리. image 4 김동렬 2012-07-03 4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