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763 vote 0 2011.02.14 (19:13:36)


양아치 , 장사치, 벼슬아치, 구실아치, 갇바치, 

흥정바치, 반빗아치, 이치, 저치  등에 보이는 우리말 치의 기원은 


몽고어, 돌궐어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그것이 반드시 몽고에서 유래했다고 본다면 곤란하다.


하여간 몽고어로는

코르치..화살담당

올도치..칼담당

고로치..새담당

바르스치..표범담당

자를릭치..고급문서담당

비칙치..하급문서담당

바오르치..요리담당

커덜치..종말담당

발라가치..성문담당.

다라치..술담당

올라가치..역마담당

모린치..말담당

수크르치..옷담당

켈레메치..통역담당

코닌치..양떼담당

구유치..개담당

카라치..암말담당

다루가치..총독


마루치..마루담당

아라치..아라담당


우리말 존칭 지와 관계있을지 모르지만 몽고의 영향 혹은 교류가 있었던 것은 확실.



#1 -아치 #2 , 工匠 #4 바치 #7 바치#% 字會 中;3 #7 , 바치#% 三國史 卷五, 羅紀五, 善德王 #8 양주동(1970), 증보 고가연구$ 일조각 &488 0 신은경 961021

 

<- 확실하지 않지만 우리나라에서 어원 연구한 박사들 중에 이같은 사실을 알아낸 사람은 아직 없는듯.

<- 아치 바치를 단순 공장노동자로 보는듯.

<- 몽고어도 검토 안 하고 어원연구를 하고 있다는 건가?

 

 


프로필 이미지 [레벨:2]미친거북이

2011.02.14 (21:54:39)

은어로 쓰이던 <깔치> (흠흠.. 죄송)도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1.02.14 (22:52:15)

연관성은 있지만 원래 치는 직업입니다.

양아치-> 동냥아치-> 거지

이치, 저치-> 치가 많이 쓰이다 보니 가져다 붙인 말

깔치-> 바닥에 깐다는 뜻으로 범죄자들이 빵에서 간수가 못 알아먹게 하려고 쓰는 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674
2077 스타일에 구속당하는가? 스타일을 주도하는가?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0 4915
2076 삶의 일관성을 일깨우는 교육 image 5 ahmoo 2009-06-10 5453
2075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238
2074 뿌듯한 느낌 6 ahmoo 2009-06-14 4595
2073 궁금한데요... 2 다원이 2009-06-15 5002
2072 지역주의의 구조론적 해결방안 질의 1 천왕성 편지 2009-06-15 7067
2071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512
2070 낳는 일이 존재의 가장 고귀한 목적이다. 3 ahmoo 2009-06-29 4743
2069 무르팍에 나온 '안철수'를 보고 4 눈내리는 마을 2009-07-08 5906
2068 구조론으로 가짜 미네르바 증명하기. 9 양을 쫓는 모험 2009-07-12 4655
2067 중국의 소수민족 위구르 시위를 보며 1 눈내리는 마을 2009-07-12 4949
2066 에너지의 조달방법?? 4 천왕성 편지 2009-07-12 4578
2065 독배 혹은 독백 2 마법사 2009-07-13 4295
2064 질문입니다. 2 마법사 2009-07-13 4081
2063 <상상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3 마법사 2009-07-13 4642
2062 '어떻게'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구조론291~300p 관련) 7 통나무 2009-07-13 4599
2061 토론의 차원 7 통나무 2009-07-14 4690
2060 선형분석에서 면적분석으로 (n차에서 n+1차로의 차원이동) 2 눈내리는 마을 2009-07-18 5661
2059 페미니즘 image 2 꾸이맨 2009-07-20 4844
2058 김동렬을 대신해서 씀 2 기준님하 2009-07-21 5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