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종사자로써, 이런 말을 하면 돌을 맞겠지만,
모든 병원이 다 저렇치 않습니다.
삼류병원도 삼성병원보다 방역을 잘 합니다.
삼성병원은 메르스에대해서 전혀 통제를 하지 않고,
정말로 위험하지 않다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환자와 접촉했거나
가까이 있던 직원들은 자택격리를 하고
현재에까지 출근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저렇게 하는 병원은 없습니다.
그리고 안심병원이라고 나온 곳은 교통이 안 좋은 곳에 위치한 병원들로
그나마 지방환자들이 적게 방문하는 곳입니다.
"질병의 역사"에 관한 책을 읽은 적이 있는데,
모든 전염병은 처음에는 숙주의 건강상태를 모르기 때문에 공격적입니다.
그만큼 숙주에게는 위헙합니다.
제국주의군대가 식민지를 처음 침략할 때와 같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숙주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균이 약해지는 거죠.
숙주가 죽으면 최후에는 균이나 바이러스도 살 수없기 때문이죠.
처음에 중동병이라고 했을 때, 낙타는 중동에서 수천년을 중동인과 함께 했기 때문에
중동인에게 치명적이지 않더라도(?) 감수성이 없는 그 밖의 나라 사람에게는
위험할 수 있는거지요?
이것을 간과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봅니다.
단순히 통계로 나온 숫자를 믿고 정책을 펼치면 안되는 게 이런 경우이지요.
원나라가 중국전체를 통일하지 못한 것도 양쯔강이남의 전염병이라고 설도 있습니다.
양쯔강이남 사람들은 이미 상대적으로 더운 중국남쪽의 질병에 노출되어
항체가 형성되어 있지만 원나라 사람은 건조하고 서늘한 북방민족이기 때문에
양쯔강이남에서 전염병으로 많이 죽었습니다
이건 병원의 문제가 아니라
조직의 의사결정구조 문제입니다.
이건희가 살아있었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일이죠.
조직이 수장 개인의 독재자 리더십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북한과 남한처럼 한 순간에 가는 거죠.
북한도 김일성이 젊었을 때는 제법 잘나갔다죠.
박정희는 다행히 김재규의 은혜를 받았고.
한국정부도 대통령은 꼬끼오, 총리는 부재. 조직은 멸망.
아니 어떻게 14번환자와 같은 공간에 있었던 의사가 계속 진료를 볼 수 있냐고요.
다른 곳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예요.
그러고도 남탓하는 것은 "뇌구조"를 특히 case로 학계에 보고해야 해요.
이런 곳이 정보공유를 하려고 하겠냐고요.
13.42%는 의사결정이 가능한 집단이고 나머지 86%는 불가능한 집단인 것은 아닌지요?
13.42%는 친족 모임이고 86%는 개미주라면?
보통은 이럴 때 13.42%가 전체를 지배하더군요. 13.42%가 의사결정의 핵으로 작용하니깐요.
보통 100명 정도의 집단을 장악할 때는 단 한명의 친구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그 첫 한 명을 꼬시는게 중요한데, 왜냐면 다른 98명은 서로 적대관계거든요.
물론 한 명만으로는 부족하고 그게 시작이라는 거죠.
요새는 이들이 적극적으로 행동주의를 내세우려고 하죠.
결론은
1. 무리한 경영권 승계가 화를 불렀다. 재벌이 여러개의 기업을 운용하고 자식이 경영권을 승계하는 구조 자체가 잘못된 것이지, 그들의 처신이 잘못된 게 아니다. 일방적인 자식 승계는 없어져야 하며 오너가 출신과 전문경영인이 경쟁하는 구도를 만들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위기시에는 오너가, 평시에는 전문경영인이 경영에 유리한데, 위기시에는 의사결정의 속도가, 평시에는 의사결정의 정확도가 더 필요하기 때문이다.
2. 쉽게 돈버는 방법을 안 쓰는 국민연금은 등신이다.
3. 국부유출을 논하면 안된다. 외국인이 주식을 사줘서 주식 오른 건 잊어먹고 차익내고 팔 때만 말하는 건 이상한 거다. 그 주식을 외국인이 사질 않고 한국의 소액주주들이 샀었다면 소액주주들은 더 큰 피해를 입었을 것. 약점을 공격하는 상대방을 비난할 게 아니라, 약점을 알고서도 대처를 못한 것을 비난해야 한다. 국부빨대는 외국보다 삼성이 더 심하므로 삼성을 졸라 까야 한다.
로 낼 수 있겠네요.
저는 책의 수명을 더 길게 봅니다.
동영상 컨텐츠의 장점은 있으나 그 한계도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왕좌의 게임은 지금 시즌 5를 지나고 있지만 전달하는 정보량을 보면 소설에 한참 못미칩니다.
좀더 깊이있게 이해하고, 본인이 소화해 내는 데에는 종이책을 능가하기 쉽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상호보완으로 더욱 커져가지 않을까 합니다.
미국과 일본의 양적완화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