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이 기억못한다고 핑계대더니
신경숙도 그런 기억 없다고 따라쟁이 되나?
표현 뿐만 아니라 작품 소재와 구조도 비슷하더만.
누구 말대로 신경숙의 말은 우주적 궤변이다.
노력하니까 우주가 도와줘서 글을 썼다.
글은 나도 모르게 우주가 쓴것이지 내가 쓴게 아니다?
정은이가 웃고 있소. 따라쟁이 같으니라고.
정은이는 미사일도 쏘는데 겨우 물대포 함 쏴봤다?
논에 물은 대는게 아니라 논에 벼를 쓸어버릴려고 하는듯...
사진기자가 안티네.
이딴 소리나 하고 있는
경제학은 거의 쓰레기나 다름 없소.
도대체 노벨상 쓸어담았다는
그 쟁쟁한 경제학자들은 어느 똥통에 빠져 허우적대고 있는지.
애초에 돈이라는 개념의 정의부터 잘못되어 있는 거요.
쌓아둔 돈은 돈이 아니오.
돈이 금고로 사라지고 있는게 문제요.
돈의 가치는 돈을 쓰는게 쓰지 않는 것보다 이익일 때
그 편차만큼의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부잣집 금고에 쌓여있는 돈은 돈이 아니라 똥입니다.
경제학자들의 돈에 대한 인식은
내가 오늘까지 살아오면서 돼지가 새끼치는 것은 봤어도
돈이 새끼치는 것은 못봤다고 말한
1500년 전 마호멧 수준에서 1센티도 전진하지 못했습니다.
경제학자들이라 불리는 자들은 아직
속도와 가속도를 분간하지 못할 정도로 대가리가 깨져 있음이 틀림없소.
구조론으로 보면 돈이라는 것도
다른 모든 것들과 마찬가지로 의사결정구조 안에서 작동합니다.
자본이 의사결정의 축이 될 때와 그렇지 않을 때가 있다는 거지요.
돈이 부자에게 있어야 할 시점은
예컨대 처음으로 자동차가 생겼다고 치고
누군가 그 차를 사야 하는데 부자가 살 수 밖에 없소.
부자가 차를 샀다면 다음 중산층이 사고 다음은 하층민이 사고
모두들 자동차를 샀다면 이제는 종목을 바꾸어야 합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떻습니까?
좋은건 부자가 사는게 아니라 20대 젊은이가 제일 먼저 삽니다.
스마트폰이 새로 나왔다 누가 삽니까?
1) 돈 많은 구두쇠 할배 2) 돈 없는 알바 청년
현실은 가장 돈이 없는 20대 젊은이가 경제를 주도하는 자본의 상류층이라는 거.
구두쇠 할배는 자본 개념으로 볼때 빈민에 거지임. 건희? 시체임.
돈이 될만한 아이템을 중심으로 황당한 효과를 주장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런 자들의 편에 서서 마치 그것이 효과가 있는 것처럼 포장해주는 사이비 연구자들이 있지요.
그 부작용은 고스라니 소비자들의 몫이 되고요.
이런 류의 허가는 반드시 다수의 검증된 실험과 일정기간동안의 반론을 통해서 엄격히 이루어져야 할 것임.
적어도 해당 업체의 자금지원 등의 주도 하에서 이루어진 자사형 연구결과일 경우는 정부가 함부로 허가를 내줘서는 안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