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800 vote 0 2014.04.28 (18:26:45)

   

http://www.asiae.co.kr/news/view.htm?sec=eco2&idxno=2014042616001225511



침몰 참사를 빚은 세월호의 실소유주인 유병언은 사진 작가로 활동하며 ‘아해’라는 예명을 썼는데, 이 표현은 이상(李霜, 1910-1937)의 시 ‘오감도 시 제1호’에서 땄다고 한다. 그런데 이 시가 표현하고 있는 풍경이, 마치 2014년 4월의 참혹한 풍경을 그린 듯이 보여주고 있어 새삼 관심을 불러 일으킨다.

13人의아해(兒孩)가도로로질주하오.
(길은막다른골목이적당하오.)

제1의아해가무섭다고그리오.
제2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3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4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5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6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7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8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9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10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11의아해가무섭다고그리오.
제12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13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13인의아해는무서운아해와무서워하는아해와그렇게뿐이모였소.

(다른사정은없는것이차라리나았소)

그중에1인의아해가무서운아해라도좋소.
그중에2인의아해가무서운아해라도좋소.
그중에2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그중에1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길은뚫린골목이라도적당하오.)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지아니하여도좋소.

이상의 '오감도'


수수께끼같은 진술들을, 세월호 참사가 일어나기 전까지는 제대로 실감하지 못했다. 질주하는 도로가 무엇인지, 막다른 골목이 무엇인지 이제야 가슴 아프게 깨닫는다. 이 시 제목이 왜 오감도(烏瞰圖)인지도 알겠다. 저 무서운 아이와 무서워하는 아이를 위해 아무 것도 해주지 않은 채 공중에서 빙빙 헬기나 돌리는 것, 또 물밑으로는 내려가지 않고 해상에서 일없이 뱃머리나 돌리는 까마귀의 눈을 말하는 것이었구나. 오(烏)는 새(鳥)의 눈을 뺀 이미지다. 이상은 이 '눈이 없음'을 시의 착안으로 삼았다. 눈 없는 구원자인 어른들은 아이들이 미쳐 내달리는 것을 그저 지켜보고 있을 뿐이다. 


이상은 13명의 아해를 골목에 뿌려놓으면서, 공포스런 시의 풍경을 만들어냈지만, 2014년 4월은 그보다 스무 배도 넘는 아해들을 물밑으로 보내놓고 까마귀처럼 구경만 하고 있었다. 그가 설정해놓은 '골목'이라는 공간의 숨막힘은 가라앉는 배 안의 풍경으로 바뀌면서 공포를 천배 만배로 늘여놓는다. 이상은 그 숫자들을 철회하면서 하나씩 희망을 줄여 무서운 아이와 무서워하는 아이를 구원하고 있지만, 우린 그렇지 못했다. 나중엔 길도 뚫었고 도로와 그 사건 자체도 백지화하고 있지만, 우린 잠수종 하나도 제대로 내리지 못했고 배의 창문도 제대로 깨지 못했다. '다른 사정은 없는 것이 차라리 나았소‘라는 괄호 안의 단언은, 아직도 기적을 전혀 만나지 못한 우리의 절망으로 뼈아프게 아로새겨진다. 이상은 비범한 선견지명으로 우리 사회가 낳을 이런 치명적인 과오를 오래 전에 들여다 보았던가.

이상의 '오감도'는 백지화되었을지 몰라도, 세월호의 오감도는 우리 시대의 가장 깊은 뇌리에 박혀 우릴 거듭 아프게 할 것이다. 그 세월호의 주인이 사진작가 '아해(兒孩)'라니, 이런 환장할 역설이 어디 있는가. 


이상국 편집에디터·시인 isomis@asiae.co.kr
 ###

   기사의 이상李霜은 틀린 것이다. 李箱인데 상자는 오동나무 상자다. 즉 시체가 든 관이다. 모르는 사람이 말하기를 이상이 원래 긴상인데 총독부에 근무할 때 누가 이씨로 잘못 알고 이상으로 불러서 이상을 필명으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 꾸며낸 이야기다. 


   이상의 오감도를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는게 참으로 신기한 거다. 어떻게 그게 어려울 수가 있다는 말인가? 이상은 2차세계대전 직전의 공포스런 사회분위기를 표현하고 있다. 이 시를 쓴 해가 아마 할힌골에서 왜군이 러시아군과 붙었다가 주코프에게 박살난 전후다. 상해사변이 일어나고 중일전쟁으로 치닫는다. 어찌 무섭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인가? 무서운 것을 무섭다고 하는게 뭐가 어렵다는 말인가? 너무나 쉬운 시다. 


    아해의 사진은 정명석 시인의 시 새우를 능가하는 희대의 걸작乞作이다. 거지 같아서 걸작이다. 500원도 아까운 사진을 5천만원 받고 팔았다고 하니 참.



  890.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4.04.28 (20:13:41)

언론은 이 자를 연일 띄우고...
그래서 어쩌자고...
법대로 이 자는 재산 몰수하고 처벌하면 되고.
근데 숨겨진 재산 다 몰수 할수 있을까...?
빠져나갈 구멍만 크게 만들어 주는거 같은데.
법이 안되면 법을 만들어서라도 몰수 해야 된다고 보임.
그런데 사법부와 국회가 그럴 의지나 있는지 궁금.
또 이 자를 띄우면 박그네도 띄워야지... 다 서로 한 그물에 얽혀 있는데...
이 자가 잘못한만큼 박그네 잘못도 커지는 것이므로..
이제와서 그건 아니라곤 못하겠지.
박그네 떠받치고 있는 주춧돌 하나를 빼서 또 땜질하고..하다보면 결국 밑둥은 사라지는거...
그런데 그럴수 있을까...과연?

안 갚어도 된다하니 전 국민이 저 자의 재산을 몰수하면 될듯. 어차피 처음부터 지돈도 아니었으니.

새는 좋겠다. 돈 없어도 되니...
아놔... 정말 좋겠다. 앞으론 그리 살어봐라. 밥은 먹여줄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204
118 선형분석에서 면적분석으로 (n차에서 n+1차로의 차원이동) 2 눈내리는 마을 2009-07-18 5650
117 토론의 차원 7 통나무 2009-07-14 4686
116 '어떻게'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구조론291~300p 관련) 7 통나무 2009-07-13 4595
115 <상상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3 마법사 2009-07-13 4640
114 질문입니다. 2 마법사 2009-07-13 4077
113 독배 혹은 독백 2 마법사 2009-07-13 4292
112 에너지의 조달방법?? 4 천왕성 편지 2009-07-12 4574
111 중국의 소수민족 위구르 시위를 보며 1 눈내리는 마을 2009-07-12 4940
110 구조론으로 가짜 미네르바 증명하기. 9 양을 쫓는 모험 2009-07-12 4647
109 무르팍에 나온 '안철수'를 보고 4 눈내리는 마을 2009-07-08 5898
108 낳는 일이 존재의 가장 고귀한 목적이다. 3 ahmoo 2009-06-29 4740
107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505
106 지역주의의 구조론적 해결방안 질의 1 천왕성 편지 2009-06-15 7064
105 궁금한데요... 2 다원이 2009-06-15 4996
104 뿌듯한 느낌 6 ahmoo 2009-06-14 4595
103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232
102 삶의 일관성을 일깨우는 교육 image 5 ahmoo 2009-06-10 5448
101 스타일에 구속당하는가? 스타일을 주도하는가?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0 4911
100 진짜와 가짜 눈내리는 마을 2009-06-10 4817
99 시스템에서 감각으로 5 양을 쫓는 모험 2009-06-04 5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