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5]기준님하
read 5209 vote 0 2009.07.29 (06:56:43)


안녕들하십니까 

앞으로 제가 다루어 보고싶은 분야는 경영학, 심리학, 생물학, 화학, 물리학, 수학  등이 있습니다. 이는 학문의 분류상 이름붙인 것일 뿐이지 학문에 접근하는 방식이 각 분야마다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방식이 집단지성에 의한 총괄이론이기 때문입니다. 
 
경영학, 심리학, 생물학 부분은 제가 지금 당장 할 얘기 꺼리가 많습니다. 수학, 물리학, 화학 분야는 지금 제가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제가 추구하는 예술세계에 대해서도 보여드릴 생각입니다. 

우리가 각자 관심갖는 분야에 대해서 글을 쓰면서 보다 정교하고 앞선 구조론을 만들어가도록 합시다. 



제가 회원님들께 바라는 점이 있습니다. 

구조론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글을 써보십시오. 

구조론의 모든 원리를 다 이해하지도 못했는데 글을 쓰기가 어렵게 느껴진다면 처음에는 이 정도만 해보셔도 좋습니다. 

1) 주관을 바탕으로 한 정보의 정의
2) 내가 정의한 요소들의 상대적 관계만들기

다양한 분야를 토론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자주 보도록 합시다.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09.08.03 (09:53:08)

제 이해가 정확하다면, 구조의 파악이란,
1. 수직적구조 (에너지의 흐름)
2. 수평적구조 (단일 단계내에서의 자유도 분배)
로 볼수 있습니다.

Free Body Diagram (FBD)에서 보면, control volume 이라는 '덩어리'를 설정해놓고,
그 외력을 그립니다. 그러니, 2번은 없고, 1번을 두고 힘의 구조를 판단합니다. 힘 (F)가 벡터라고 보면,
모든 방향의 F의 합은 제로라고 설정(이것이 저울)하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32
1787 성장통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09-04-28 5507
1786 역시 보는 눈이 다르다- '자격증' 제도에 대한 칼 로저스의 언급을 중심으로 3 오세 2010-03-05 5506
1785 학교폭력예방법의 개정 방향 이상우 2023-05-30 5496
1784 구조론 부적응 1 아티스 2007-11-18 5494
1783 중국과 한국의 차이 image 김동렬 2015-04-30 5493
1782 한국사회 구조조정 1 눈내리는 마을 2009-03-24 5490
1781 질문 - 너무 쉽소. 6 김동렬 2013-01-09 5489
1780 가슴하나에 시크릿 하나씩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11-06 5487
1779 문화발전의 5단계 1 르페 2009-01-11 5487
1778 시조새는 새가 아니다? image 3 김동렬 2011-07-28 5482
1777 특권의 문제 image 김동렬 2015-06-04 5478
1776 시비붙기 좋은 날. 3 아제 2010-12-12 5474
1775 숨은 전제 훈련하기 image 9 김동렬 2016-02-23 5458
1774 구조론은 수학이다. 1 아제 2010-06-10 5452
1773 글을 잘 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3-12-15 5435
1772 국토학교를 소개합니다 수원나그네 2023-06-03 5430
1771 스티브 잡스와 <나는 꼼수다>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16 5430
1770 대니얼 카너먼의 돌 1 chow 2023-06-03 5428
1769 질문 - 책상은 다리가 몇이오? image 12 김동렬 2013-01-23 5428
1768 뭘까요? image 17 김동렬 2013-08-16 5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