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753 vote 0 2018.07.12 (13:55:07)


   구조론마당 구조론의 예 게시판에 추가된 내용입니다.


    빛은 있고 어둠은 없다.


    빛은 광자가 있고 어둠은 실체가 없다. 빛의 광자에 대응되는 어둠의 암자는 없다. 어둠은 빛의 부재이니 빛의 상태를 설명하는 말이며 빛에 종속되는 말이다. 빛의 반대편에 빛과 대응되는 어떤 독립적 실체는 없다. 물리적 존재가 없다. 밝음과 회색과 어둠은 빛의 강약을 나타내는 말이다. 구조론은 일원론이다. 신이 있으므로 반대편에 사탄이 있다는 식의 이원론은 틀렸다. 하나가 있는 것이며 그 하나가 움직이면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둘로 보인다. 



    선은 있고 악은 없다.


    선은 집단이 진보하여 나아가는 방향과의 일치다. 그 일치가 실제로 있다. 악은 없다. 내용이 없다. 악은 선에 의해 상대적으로 규정된다. 선의 움직임 곧 집단의 진보하는 방향의 변화에 따라 악으로 낙인 찍힌다. 다수가 움직여 '너는 악이야' 하고 규정하면 악이 된다. 집단의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악이다. 개고기를 먹으면 악인게 아니고 개고기를 먹지 말라고 말했는데도 먹으면 악이다. 개고기를 먹었기 때문에 악이 아니고 말을 안들어서 악이다.



    마이너스는 있고 플러스는 없다


    플러스가 있으니 마이너스가 있다는 생각은 틀렸다. 에너지로 보면 오직 마이너스가 있을 뿐이며 플러스는 마이너스의 방향전환이다. 마이너스를 반대편에서 보면 플러스인데 관측자가 개입했으므로 오류다. 관측자를 배제해야 자연의 사실과 맞다. 우주는 오직 마이너스 뿐이며 마이너스는 자연의 사실이고 플러스는 관측의 편의다. 내가 주면 누군가 받는다. 주는건 마이너스, 받는건 플러스인데 둘은 하나의 사건이고 통제권 있는 마이너스가 기준이다.



    1+1은 2가 아니다.


    1은 사물이고 2는 사건이다. 사물은 개별적으로 있고 사건은 전체적으로 있다. 1+1이 2인지는 증명될 수 없으나 2-1이 1인지는 증명된다. 물 한 컵에 한 컵을 더하면 큰 한 컵이 되어 여전히 1이므로 헷갈리지만 두 컵에서 한 컵을 빼면 확실히 하나가 남아 헷갈리지 않는다.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작고 전체는 부분의 합에 없는 상호작용이 있다. 사물의 세계에서는 플러스가 가능하지만 사건의 세계는 에너지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므로 마이너스만 있다.


[레벨:1]박우열

2018.07.13 (08:41:56)

진실은 있고 거짓은 없다.

[레벨:4]고향은

2018.07.13 (09:09:55)

사랑은 둘이서 마주 쳐다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한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25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227
3475 자기소개를 해야할 때 1 김동렬 2014-07-11 7729
3474 구조론이란 무엇인가(수정) 김동렬 2007-06-14 7731
3473 나쁜 신의 입장 5 김동렬 2018-07-23 7734
3472 관점에서 주체와 대상의 문제 image 4 김동렬 2014-06-03 7745
» 빛은 있고 어둠은 없다 2 김동렬 2018-07-12 7753
3470 구조론의 핵심원리 image 1 김동렬 2014-04-09 7759
3469 인간은 무엇을 선택하는가? image 3 김동렬 2014-05-15 7777
3468 세상은 에너지다 image 1 김동렬 2014-05-08 7780
3467 지퍼구조론 image 9 김동렬 2014-06-04 7782
3466 구조론적 사고의 출발점 김동렬* 2012-10-21 7784
3465 이야기의 5단계 3 김동렬 2014-09-22 7789
3464 관점의 문제 완결판 김동렬 2014-07-16 7821
3463 어려운 것은 없다 4 김동렬 2014-05-11 7834
3462 의사결정학이 새로 나왔습니다. image 19 김동렬 2014-10-07 7840
3461 모든 것의 시작, 동적균형 image 2 김동렬 2014-05-23 7843
3460 철학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8-07-03 7845
3459 선택하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4-04-27 7847
3458 묻지 말고 반격하라 image 김동렬 2016-09-24 7850
3457 여성이여, 마녀가 되라. image 1 김동렬 2014-10-15 7853
3456 이중의 역설을 쓰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4-12-21 7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