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285 vote 0 2008.11.13 (00:21:09)

깨달음은 미학이다

깨달음은 미학이다. 그들은 인생이라는 화폭에 그린다. 삶이라는 이름의 소설을 쓰고, 삶이라는 이름의 곡을 연주하고, 삶이라는 이름의 드라마를 완성한다. 그렇게 실천한다. 행동한다. 그 방법으로 언어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깨달음의 대의는 ‘불립문자’에 있다. 선가(禪家)에서는 마음을 강조한다. 미학은 선가의 이심전심과 다르다. 교가(敎家)의 언어로도 속일 수 있고, 선가의 마음으로도 속일 수 있지만, 미학의 실천은 속일 수 없다.  

교가의 언어는 타인에게 전하는 것이며, 선가의 마음은 내 안에서 완성하는 것이고, 미학의 실천이 최종적인 것이다. 그것은 널리 소통하여 낳아내는 것이다. 그 지점에서 종은 울음을 토하고 꽃은 향을 퍼뜨린다.

진정한 미는 아름다움을 넘어 완전성에 도달한다. 아름다움은 자연에서 완전성을 유도하는 절차에 지나지 않는다. 미학은 실천되는 것이며 그 행동과정에서 검증된다. 그 지점에서 근원의 완전성이 드러난다.

진정한 것은 과학성이다. 미에는 과학이 숨어 있다. 그래서 미학인 것이다. 깨달음은 완전성의 과학이다. 신(神)의 완전성에서 유도된 자연의 완전성을 포착하고, 그것을 내 안에서 찾아내어 행동으로 재현해 보이는 것이다.

미학에서는 사실주의가 강조된다. 사실이기 때문에 위대한 것이 아니라 사실은 실천되는 것이며 실천과정에서 완전성이 검증되기 때문에 위대하다. 언어로는 속일 수 있지만 실천으로는 속일 수 없기 때문이다.

미학은 양식학이다. 양식은 행동의 양식이다. 행동은 일정한 포지션의 조합에 의해 가능하다. 그 포지션 조합의 실천과정에서 걸러진다. 가짜 금은 거래과정에서 탄로나고, 거짓 사랑은 결혼과정에서 탄로난다.

거짓 씨앗은 싹트지 못하기 때문이다. 거짓 사랑은 낳아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거짓 깨달음은 소통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불완전한 것은 고립되고 만다. 계승되지 않는다. 생장하지 못한다. 발전이 없다.

양식은 체계가 있다. 체는 중심이 한 덩어리가 되는 것이고, 계는 변방이 그 줄기로부터 가지쳐서 갈라져 나가면서도 중심으로부터의 흐름을 잇고 맥을 이어가는 것이다. 거짓은 그 체계가 없다. 몸통도 없고 가지도 없다.

막연히 내려놓고, 마음을 비우고, 생각하지 않고, 꿈도 희망도 포기하고, 비위좋게, 유들유들하게, 뻔뻔하게 행동하는 것은 깨달음이 아니다. 그것은 미(美)가 아닐뿐더러 더욱 완전성이 아니다. 그것은 아무 것도 아니다.

가짜에게는 제자가 없다. 왜? 매력이 없기 때문이다. 배울 것이 없기 때문이다. 미학이 없기 때문이다. 양식이 없기 때문이다. 체계가 없기 때문이다. 세상 모든 것은 전부 하나로 이어져 호흡하고 있다. 가짜는 고립되어 있다.

모든 사이비 집단의 공통점은 무수한 분파가 생겨난다는 것이다. 왜? 그들은 너무 빨리 배우고, 너무 빨리 깨닫고, 너무 빨리 독립하기 때문이다. 애초에 배우고 계승할 그 무엇이 없었기 때문이다.

조금 본 자는 탄성을 지른다. 그들은 언어를 얻는다. 말이 많아진다. 많이 본 자는 안으로부터 익는다. 숙성한다. 그들은 마음을 얻는다. 고요해진다. 진정한 이는 밖으로 촉수를 내민다. 그들은 무수히 낳아낸다.

www.drkimz.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27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241
4955 눈을 뜬 자 석가 1 김동렬 2020-09-10 3489
4954 인간은 무엇을 원하는가? image 김동렬 2020-09-09 3744
4953 행복이냐 치열이냐 김동렬 2020-09-09 3269
4952 종교거지의 역사 4 김동렬 2020-09-08 3995
4951 수학자의 세계관 1 김동렬 2020-09-07 4924
4950 구조론과 그 적들 4 김동렬 2020-09-06 3294
4949 기득권 엘리트를 타격하라 김동렬 2020-09-06 2915
4948 존재는 에너지 + 관계다. 1 김동렬 2020-09-03 3122
4947 일원론으로 바라보라 김동렬 2020-09-03 3146
4946 메커니즘을 이해하라 8 김동렬 2020-09-03 2987
4945 질량의 1법칙과 변화의 2법칙 4 김동렬 2020-09-01 2893
4944 엘리트주의와 다원주의 1 김동렬 2020-09-01 5151
4943 말 한마디에 천냥빚을 탕감해주랴? 1 김동렬 2020-08-30 3700
4942 엔트로피의 이해 image 2 김동렬 2020-08-30 4313
4941 이해찬 이낙연 이재명 학원폭력 엔트로피 1 김동렬 2020-08-29 3691
4940 NC의 선수 죽이기 1 김동렬 2020-08-28 4358
4939 테넷, 열역학 1법칙과 2법칙 김동렬 2020-08-28 3565
4938 도구주의 관점 김동렬 2020-08-28 2447
4937 본질주의와 도구주의 1 김동렬 2020-08-27 5202
4936 도구가 있어야 한다. 2 김동렬 2020-08-27 2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