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242 vote 0 2013.11.12 (11:30:36)

%BB%Epy2.jpg 


악어


0000.jpg


꿀풀


0.jpg 


개그맨


1.JPG


문어인척

 

13.jpg


나뭇가지

 12997orka_07.jpg


나무껍질


13146bor.jpg


나뭇잎

 1301443a_95.jpg


외계인


13012649ka_30.jpg


왕눈이(가짜눈)


131716581a_26.jpg


왕눈이


152143338-4d.jpg


제비족


1258526401.jpg 


이중거미


1272949192_org36.jpg


땡글이


1294270486_00rc0ga0.jpeg


투명충


1295252040_m.jpg 


대왕눈이


%BB%E7%C1%.jpg


원숭이


pljkh.jpg


성난 원숭이


27272.jpg


짱구


12584397521.jpg


탈바가지


127502066151.jpg


새끼감추기


6 (1).jpg


앞다리가 얼굴인척 속임, 얼굴은 꼬리로 착각. 꼬리는 몸통처럼 보임.


20110927143000431.JPG

귀가 눈인척 해서 어느 방향을 보든 자기를 보고 있는듯 착각하게 만듬.

팬더 특유의 뒹굴뒹굴 하는 행동 때문에 착시가 일어남. 다른 동물처럼 바른 자세로 있다면 착각 안함.


220559-main_Full.jpg


눈을 감추고 도둑질을 함


1363155005_041.jpg


뱀인척 하는 벌레.. 행동까지 따라하네. 


1379552303_1-49.jpg


고양이라니깐요.


이상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첫째 동물, 식물, 하등동물, 고등동물을 가리지 않는다.


눈에 과도하게 집착한다. 특히 물고기들.

자신보다 훨씬 더 고등동물의 흉내를 낸다. 하극상.


구태여 모습을 감추려고 하지 않는다. 

생존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원앙의 화려한 색상처럼.


어떤 패턴을 가지면 그에 맞게 행동한다. 행동까지 모방.

예컨대 너구리는 눈을 감추고 있는데 손을 쓰므로 실제로 도둑질을 잘 함.


몇몇 종들이 이러한 흉내에 집착한다.


상어.. 온갖 형태의 주둥이 모양이 있음.

해마.. 다양한 해초와 산호를 흉내냄.

사마귀.. 난초꽃의 종류만큼 다양하게 흉내냄.

도마뱀.. 나무껍질의 종류만큼 다양함

난초..난초는 바람없는 정글에 살므로 벌레가 필요. 벌레의 종류만큼 다양하게 흉내.


대부분의 하등동물은 시력이 낮아 거의 보지 못하는데도 온갖 방법으로 위장하는게 특징.

결론은 우연과 경쟁의 산물이 아니라 이 부분을 담당하는 유전자가 있다는 거.


우연이라면 균일하게 나타나야 하나 일부 종에 집중되어 있음. 

자기를 감추려는 행동과 드러내는 행동을 동시에 함.

(자라의 색깔은 보호색이나 눈동자를 그려내어 위협)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3.11.12 (21:00:23)

눈에 집착하는 것은 저넘들이 아니고 사람이 아닐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11.12 (21:24:00)

무슨 말씀인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3.11.12 (22:20:22)

사람의 시각이 왠만한건 다 얼굴로 인식하도록 되어있죠. 그리고 특히 눈.

동그라미 2개면 다 얼굴로 보인다는... 동물도 비슷할 것 같긴하나 경험해보지는 못해서...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11.12 (22:37:58)

여기에는 특이한 것만 모았지만

눈과 관련한 패턴은 무수히 많습니다. 다 모으면 수천 종이 될 것.

여기엔 물고기의 가짜눈, 벌레의 눈점, 자라등의 눈점, 너구리와 팬더의 가짜눈.

나비나 사마귀의 가짜눈 등이 있지만 터무니없이 많은

동물과 식물에서 일관되게 눈패턴이 등장합니다.

눈을 감추거나 가짜눈을 만듭니다. 

이는 과학적인 데이터일 뿐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331
2015 이번주 구조론 모임은 취소 되었습니다. 3 오리 2020-08-25 1436
2014 안암동 목요모임(안암생활 지하 1층) image 오리 2020-11-04 1437
2013 이번 주 구조론 모임은 취소 되었습니다. image 오리 2020-11-18 1437
2012 생명로드 39 - 2013년에 뿌린 씨앗 그리고 일본전문가 강연회 image 수원나그네 2019-04-19 1439
2011 결맞음을 끌어내기 systema 2019-11-03 1439
2010 생명로드51 - 후원을 희망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9-12-20 1439
2009 땅값 집값 문제 13 - 토지임대정책 수원나그네 2018-01-24 1440
2008 인간이 쓰는 언어에는 그럴만한 사정이 있다. 현강 2020-01-08 1440
2007 땅값 집값 문제 17 - 개성공단 모델 1 수원나그네 2018-01-29 1442
2006 판구조를 읽자. 1 systema 2019-07-06 1446
2005 사건을 반영하는 언어 systema 2019-11-11 1449
2004 생명로드47- 동해안 걷기 11월말 image 1 수원나그네 2019-11-02 1449
2003 그리운 사람! 내면화된 사랑 - <노무현> 아란도 2020-05-23 1449
2002 일본의 에너지 고립. image 아나키(÷) 2020-07-08 1450
2001 탈원전 333 참여자 명단과 한겨레 7차 모집 image 수원나그네 2018-10-01 1452
2000 구조론 목요모임(홍대입구역 ,강남역 아님) image 오리 2020-07-09 1452
1999 생명탈핵실크로드 25 - 태양광 시대, 우리 삶은 어떻게 바뀔까 image 수원나그네 2018-04-25 1453
1998 12월 1일(토) 걷기행사 다시 알려드립니다. image 2 수원나그네 2018-11-16 1453
1997 핵융합 이터 설계 아나키(÷) 2020-07-28 1453
1996 소강,대동,그리고 검색의 즐거움. 아제 2020-08-06 1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