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22 vote 0 2014.08.19 (22:02:00)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40819040010122



1a.jpg


피카소의 청색시대나 고흐의 초기작을 연상케 하는 천경자의 그림은 1인칭 주관적 시점을 극복하지 못한 

즉 진중권평론처럼 유아틱한 것이다. 화가로서 득음하지 못한 것. 깨닫지 못한 것. 그림을 그리는 주체가

누구인지 찾아내지 못했다. 하여간 이런 그림 흉내내는 아류들이 많다는게 문제. 


그림은 사람이 그리는게 아니라 그림이 그리는 것이다. 그림 자체의 결을 따라가야 하며 그러려면 

에너지를 포착해야 한다. 이 그림에는 에너지가 없고 대신 에너지에 대한 갈구가 엿보인다. 그게 치기. 



a11.jpg


이중섭의 이 그림은 625를 만나 피난을 가며 길을 떠날 때 그린 것이다. 인생에서 가장 힘든 순간.

그러나 인물들은 덩실덩실 춤 추고 있다. 득음한 자의 솜씨다. 에너지가 길을 잡고 있다는 말씀.


1z.jpg


고흐의 지누부인은 에너지가 있다. 보이는 것을 그리면 그림이 아니다. 보이지 않는 내면의 기운을 잡아채야 그림이 된다.

고흐도 처음에는 이렇게 그리지 않았다. 어느 순간 득도한 것이다.


bisiro_8.jpg


고갱의 지누부인은 에너지가 없다. 이 그림은 자기가 본 것을 사실적으로 그린 것이다. 이 그림의 작가는 

나는 이렇게 보았다고 나는.. 하면서 자기를 강조하고 있다. 자기소개다. 아직 눈을 뜨지 못한 햇병아리다.


the.jpg

이건 좀 낫소이다만 제목을 spirit of the dead watching라고 더럽게 붙인걸 보면 .. 뒤의 검은 옷입은 여성은 딸을 맡겨놓고

고갱을 따라다니며 감시하는 장모. 그림은 자신이 어디에 매혹되었는지를 보여야 한다는 거. 이 그림은 매혹되었다 하는

점을 보이고 있지만 유치한 제목이 망함. 


[레벨:10]다원이

2014.08.19 (23:59:23)

찡~~~합니다.
[레벨:2]김지영

2014.08.20 (01:30:58)

천경자 그림을 계속 보고있으면 구토가 나올 것 같음. 무슨 판박이 처럼 입체적인 느낌 하나도 없고,

꽉 차게 그려 놓았어도 텅 빈 느낌임. 여자그림은 모두 자화상 같고.  멍하고 퀭하고 허탈하고...

국보급이라니.... 사람들이 솔직하지 못한 걸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110762
879 생각의 정석 93회 1 오세 2015-09-11 3294
878 어린이를 존중해야 선진국이다 - 제민포럼 1 ahmoo 2014-04-14 3291
877 구조론과 강화학습 챠우 2016-12-16 3288
876 베어 그릴스는 병만족인가? image 김동렬 2016-07-18 3286
875 응답하라 대한민국 ahmoo 2014-01-20 3286
874 엇박자 경제대응 1 SimplyRed 2022-09-15 3283
873 차 한잔 어떻소. -아제 관리자* 2012-10-21 3280
872 생각의 정석 95회 오세 2015-10-06 3279
871 구조론이 옳다는 과학적 증거 4 김동렬 2014-03-27 3277
870 (무한공유 환영) 투표, 즉 의사결정은 건강에도 좋다 오세 2016-04-09 3276
869 생각의 정석 101회 image 오세 2015-11-21 3275
868 불평이 심한 아이는 어떻게 할까요? 9 이상우 2021-09-01 3274
867 생각의 정석 86회 오세 2015-07-11 3274
866 슈뢰딩거 고양이의 의미 2 chow 2023-11-13 3272
865 인류가 가진 단 하나의 지식 1 chow 2023-02-12 3269
864 생각의 정석 87회 1 오세 2015-07-18 3269
863 NFT는 무엇인가 1 chowchow 2022-01-14 3268
862 예술은 쉽다 1 이금재. 2021-09-30 3267
861 생각의 정석 108회 3 오세 2016-01-09 3263
860 구조론의 출발 김동렬 2016-09-21 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