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를 적대시하는 국가와 안보상 민감한 정보를 공유한다건 말이 안되죠.
강경화 장관이 그저께 어렵다 어렵다 어렵다 말할때 이미 결정놔 있었을 듯 하네요.
유럽:
오스트리아, 벨기에, 불가리아, 영국,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체코,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칼,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북미:
미국, 캐나다
남미:
아르헨티나
오세아니아:
호주, 뉴질랜드
아시아:
한국(8/2일부로 제외)
정확한 지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제가 주목한 부분은 매니아 관객과 공연측(감독) 사이의 갑을 관계외에도, 매니아들이 일반관객들(의 관람태도)에 대해서 갑으로서 행동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리고 연극의 시장성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 생각해보자면, 역시 배포 측면에서 복제가 어렵다는 점이... 온라인영상물>>(오프라인)영화>>>연극 순서대로 난이도가 급상승...이런 상상을 해봅니다...연극용 로봇을 이용해서 출연 배우들의 행동을 학습하고(이 단계는 영화에서 쓰는 모션캡처랑 유사하겠죠?) 장소와 시간과 무관하게 여러 극장들에서 연극이 상연되면 어떨까...이런 연극에서도 관객들에게 감동이 전해질 수 있을까?
보통은 호수에서의 죽음을 개별적인 사건으로 보지만
서로 연결된 하나의 통짜덩어리 사건으로 봐야 한다는 말입니다.
구조론은 연역이고 연역은 전체를 먼저 보고 부분을 나중 보는 것입니다.
전체를 연결시켜 보면 여러 죽음이 아니라 하나의 모방사건이라는 거지요.
사람들이 관습이나 종교나 기득권을 버리지 못하는 이유는
개별적인 판단 때문이 아니라 에너지로 연결된 하나의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부모가 생선가게를 했다면 자식도 생선가게를 하는게 에너지적으로 유리합니다.
그러므로 일본인들은 수백년 동안 생선가게를 대물림하는 거지요.
하나의 모방사건!
오늘도 머리가 시원해졌습니다
바보들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본능적으로 생존기동을 합니다.
미국 코미디언 완다 샤이크스에 의하면 부시, 아들부시, 클린턴, 오바마가 모두
백악관에 들어가자마자 팍싹 늙었는데 트럼프는 오히려 젊어졌다고.
특별히 훈련되지 않은 소인배가 스트레스를 회피하고 남탓하며
순간을 모면하며 빠져나가려는 심리의 덫에서 벗어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대부분 막연히 의사결정을 미루고 시간을 끄는 결정을 하게 됩니다.
그 결과는 불확실성으로 나타나고 시장에서 악재보다 나쁜게 불확실성입니다.
악재는 기저효과를 거쳐 다시 상승하게 하는 바탕이 되지만 불확실은 그냥 붕괴하는 거.
미국 조크 중 하나...
어느 빌딩에 새로 입주한 신참 정신과의사가 있었다.
하루종일 정신질환자들의 말을 들어주고 답변해주다보니
저녁에 퇴근할 무렵에는 파김치가 되기 일쑤였다.
유난히 환자가 많았던 어느날 녹초가 되어 퇴근하던 신참의사는
그 건물에서 몇십 년째 개업하고 있는 선배 정신과의사를 엘리베이터에서 마주쳤는데
그는 퇴근하는게 아니라 마치 출근하는 것 같이 쌩쌩했다.
"선생님! 대체 어떻게 그렇게 하루종일 환자들 얘기를 들어주고도 지치지 않을 수 있습니까?
비결을 좀 알려주십쇼!"
"누가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