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834 vote 0 2013.11.29 (00:01:02)

  


존재의 원형


9.GIF


    존재의 원형은 둘이 대칭되어 한 세트를 이룬다. 대칭이 없으면 반응하지 않으므로 자기 존재를 나타낼 수 없다. 공기 속에서 공기의 존재를 알아채지 못하는 것과 같다. 진공은 아무 것도 없는 것이 아니라 반응하지 않는 것이다. 그것은 무無다.


    존재는 의사결정을 통해 자기존재를 유지한다. 그것은 외력의 작용에 반응하는 것이다. 반응하려면 반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그것은 축과 대칭으로 이루어진다. 축은 대칭을 비대칭으로 전환시켜 에너지를 처리한다.


    어떤 것이 그곳에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외력에 반응하기 때문이다. 반응할 수 있는 것은 외력을 처리하기 때문이다. 질은 에너지를 결집하여 반응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며, 입자는 그 구조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외력을 처리한다.


    질은 대칭의 붕괴를 통해 스스로 에너지를 유도할 수 있고, 입자는 에너지가 주어져 있는 상황에서만 작동한다. 힘과 운동과 량은 입자가 에너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밟는 단계들이다.


8.GIF10.GIF


    군대를 처음 소집하는 것은 질이고, 잘 조직된 군대가 대오를 갖추는 것은 입자다. 우리가 자연에서 보는 사물들은 대개 입자의 꼴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생명의 탄생, 태풍의 발생과 같이 문득 생겨나는 것은 질이다.


    양자와 같이 미시세계에서는 모두 질로 존재한다. 입자는 대개 같은 일이 반복되므로 각별히 고려할 일이 없다. 우리가 중요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은 질의 상황이다. 그것은 낯선 세계로 처음 진입할 때다.


    처음 학교에 입학할 때, 처음 이성을 사귈 때, 처음 직장을 구할 때, 발견이나 발명을 할 때, 창의적인 예술활동을 할 때, 정치적인 소용돌이에 휘말릴 때와 같이 경험되지 않은 상황은 적극적인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며, 이런 때는 질의 모형을 깨우쳐야 한다. 일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입자모형, 힘의 모형, 운동모형, 양의모형으로 바꾸어야 한다.


    자연에서 유체는 질의 형태를 가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28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247
2755 구조론의 제 1의 image 2 김동렬 2015-12-14 5067
2754 선이 악을 이긴다 김동렬 2023-12-28 5065
2753 물 속에는 물이 없다 1 김동렬 2019-04-21 5060
2752 사랑의 정석 61, 산은 산 물은 물 image 1 김동렬 2016-02-25 5058
2751 열역학 1, 2법칙 2 김동렬 2019-06-25 5054
2750 연쇄살인범 이춘재의 입장 1 김동렬 2020-11-03 5053
2749 존재의 최종근거 image 4 김동렬 2015-11-07 5053
2748 깨달음 스무고개 image 1 김동렬 2015-12-16 5044
2747 사랑의 정석 50, 여행자의 얼굴 image 1 김동렬 2016-02-06 5042
2746 케인즈가 옳다 image 김동렬 2015-11-30 5040
2745 사랑의 정석 54, 죄는 영원하다 image 1 김동렬 2016-02-16 5038
2744 사랑의 정석 24회, 철학이란? 1 김동렬 2016-01-01 5033
2743 노자 10, 무위하면 죽는다 image 김동렬 2016-02-17 5032
2742 사랑 83, 내 안에 내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3-28 5031
2741 공자 12, 백이도 숙제를 image 김동렬 2016-02-09 5030
2740 사랑의 정석 26, 창의는 훔친다. 2 김동렬 2016-01-05 5030
2739 조기숙님의 청와대 입성 image 김동렬 2005-02-19 5029
2738 천공의 전쟁지령 김동렬 2024-01-27 5028
2737 사랑 89, 아름다움에 도전하라 image 1 김동렬 2016-04-04 5028
2736 균일 불균일 다시 균일 김동렬 2015-11-25 5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