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646 vote 0 2012.01.04 (22:48:02)

20111229051208386550460.jpg



왜 두더지는 눈이 퇴화했을까?

왜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했을까?


*** 라마르크설 - 눈을 사용하지 않아서 퇴화했다.

*** 돌연변이설 - 우연히 눈 나쁜 넘이 살아남았다.


*** 구조론의 상호작용설 - 원래 유전체계 안에 빛이 있거나 없는 환경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설의 의미는?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뇌가 쓸데없이 더 많은 자원을 가져가지 않도록 보수적인 디폴트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것이다. 한정된 자원을 뇌가 다 가져가 버리면 다른 부분은 손해잖아. 


어차피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동굴 속에서 빛도 없는데 눈이 자원을 상당히 가져가 버리면 나머지 부분에는 돌아갈 몫이 없으므로 두더지나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되도록 세팅되어 있었던 것이다. 즉 두더쥐가 땅을 파는 성질과 눈의 퇴화는 세트로 결정된 것이다. 이때 외부환경과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쪽이 많은 자원을 가져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2.01.05 (09:27:18)

퇴화란 말은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퇴화가 곧 진화니까요. 퇴화랑 진화는 같은 말.

 

두더지는 눈이 나쁘다? 누구보다? 언제보다?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모든 생물이 하나의 세팅으로 되어있다는 것인지요, 아니면 모두 다른 세팅이 되어있단 말씀인지 궁금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853
2077 확률과 구조론 다음 2020-08-10 1333
2076 생명로드49 - 동해안 순례 사진과 성명서 image 수원나그네 2019-12-03 1339
2075 학문에 대한 해석 2 오민규 2020-06-27 1348
2074 별개의 사건 현강 2020-08-06 1349
2073 동적논리 systema 2020-05-15 1357
2072 국가가 경제하는 뉴노멀 시대 이금재. 2020-07-04 1360
2071 타자성에 관하여 현강 2020-07-23 1360
2070 중첩이 대칭을 낳는다 현강 2019-08-02 1361
2069 에너지 루트를 점검하자 systema 2019-07-27 1362
2068 사유의 방법과 철학 오민규 2020-07-08 1362
2067 제대로 된 인과율은 5다. 현강 2020-08-15 1362
2066 한국어의 힘 image 김동렬 2022-06-14 1363
2065 2022-02-10 목요 온라인 모임 오리 2022-02-10 1364
2064 의식과 무의식, 엔트로피에 대한 착각 현강 2020-08-08 1365
2063 2022-02-24 구조론 목요 온라인 모임 오리 2022-02-23 1369
2062 동음이의어에 대한 생각 1 오민규 2020-05-27 1371
2061 구조론 용어를 헷갈려하는 경우 현강 2019-08-05 1377
2060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2 오리 2020-07-15 1377
2059 생명로드 52 - 2020 여름 유럽순례일정을 소개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20-01-23 1380
2058 생명로드46- "현장에 해답 있다" 원전안전기술문제 아카데미 개설 image 1 수원나그네 2019-10-03 1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