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read 4978 vote 0 2023.06.13 (22:22:15)

애가 문제 행동하는 것에 나도 휘말리다가 하임기너트의 문제해결 대화법만 잘하면 되는 줄 알았습니다. 효과는 있었지만 내 속이 부글 부글 끓습니다. 또 실수하고 자책합니다.
그러다가 해결보다 경청과 공감이 중요함을 알고 공감 중심 대화를 하였습니다. 문제도 자연스레 해결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공감 피로감이 컸습니다. 실패에 대한 자책도 여전했지요.
이후 비폭력대화를 통해서 자기공감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기공감을 하니 자책감에서 벗어나 마음이 좀더 편해졌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피로감과 공허함이 몰려왔습니다.
그 이유는 내 컨디션상태가 안좋아서 였습니다. 스트레스를 풀지 못해서 였습니다. 나의 건사마주애를 챙기니 에너지가 생겨서 화도 덜내고 아이들과 관계도 좋아졌습니다. 그런데 혼자서 하니 지속적으로 하기 힘들었습니다.
역시 성공의 팀에 들어가서 서로 공감하고, 격려하고, 좋은 노하우를 공유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쳐 점차 완성형 교사로 설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득 깨달음이 왔습니다. 내가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것보다 내가 한 인간으로서 독립된 인격체로서 바로 설 때 내 삶을 살아가는 모습과 태도를 아이들이 보고 자연스럽게 모델링되고, 내가 아이들을 대하는 그 태도로, 아이들도 자신에게 친구들에게 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먼저 교사가 인격자가 되지 않으면, 교사가 가르치는 것이 교사의 삶에서 자연스레 흘러나오지 않으면 교사의 진심이 아이들에게 전달되지 않더군요. 약간의 기다림과 교사의 시행착오, 아이들의 변화없음, 저항과 반항도 교사의 교육 방향이 틀리지 않았다면, 흔들리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은은하게 펼쳐 나간다면 어느 순간 문제로 여겼던 것은 문제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문제를 보기 전에 그 아이의 장점과 강점을 보고, 아이의 문제 행동보다 아이의 존재를 수용하고 아이를 보는 눈에서 어느새 나의 내면을 보는 눈으로 관점이 옮겨가고 내가 성공의 팀안에 들어가서 에너지를 공급받고 나의 몸과 마음과 관계를 돌아보며 컨디션을 회복해 나갈 때 나와 팀원들은 성장해 나갑니다.
이러한 고통과 환희, 좌절과 회복속에서 교사는 성장하고 아이들도 함께 성장해 갑니다. 아이들을 가르쳤던 모든 것이 나의 삶으로 체화가 됩니다. 그렇게 인간은 함께 성숙해 갑니다.


353650518_10231780906892441_4862594141472682662_n.jpg

[레벨:11]큰바위

2023.06.14 (04:54:27)

귀한 경험을 글로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레벨:8]펄잼

2023.06.14 (22:23:14)

이렇게 고민하는 담임선생님이라니 멋지십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105
1678 근원의 표정 image 8 ahmoo 2011-03-09 5000
1677 남자는 진보의 적이다 image 4 김동렬 2013-06-26 4999
1676 백년해로할 배우자를 만나는 방법 1 빨간풍차 2008-12-28 4997
1675 궁금한데요... 2 다원이 2009-06-15 4993
1674 조선은 왜 망했는가? image 김동렬 2015-03-05 4988
1673 이명박의 자전거가 골로 가는 이유 image 2 김동렬 2010-12-27 4983
» 아이의 문제에 교사가 휘말릴 때 image 2 이상우 2023-06-13 4978
1671 한 방에 이해하는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4-12-03 4979
1670 인간이 원하는것 image dksnow 2022-08-04 4970
1669 큰넘을 잡았구려. image 2 dallimz 2009-01-14 4965
1668 예술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3-12-11 4963
166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김동렬 2023-04-13 4960
1666 북미 관계 어떻게 볼것인가 4 눈내리는 마을 2009-02-24 4959
1665 한국 진보의 잘못: '합리성'과 '영성' 2 눈내리는 마을 2009-01-29 4959
1664 김용옥의 수준 1 김동렬 2015-03-01 4958
1663 달과 손가락. 6 아제 2010-02-03 4955
1662 월터교수의 마지막 강의 5 김동렬 2016-07-18 4952
1661 이말년의 예언 김동렬 2016-05-19 4950
1660 왼발이 커지는 원리에 대해서 1 기준님하 2010-02-02 4945
1659 질이라 함은.. 9 도플솔드너 2009-01-20 4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