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925 vote 1 2019.05.04 (04:06:22)

글을 써보고 알게되는 것인데, 필자가 글을 쓰는게 아니라 글이 글을 쓴다. 전제가 진술을 부르고, 주어가 동사를 부른다. 글이 산만해 지지 않고 긴장감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 문단, 첫 문장이 강렬해야 한다. 강렬한 만남, 강렬한 부딪힘으로 글 전체를 이끌어가는 긴장감을 얻는다. 


뜬금없이 글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문학작품이나 영화나 같은 구조를 공유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기 위함이다. 가장 예시를 들기 쉬운 영화를 들자면, 영화감독의 입장에서 평균 2시간이나 되는 시간동안 관객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기본에 충실한 탄탄한 내러티브, 스토리의 힘 등이 답이 될 수 있겠다. 그래서 그 탄탄한 내러티브를 어떻게 만드느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타이타닉 - 배라는 고립된 공간에 계층이 다른 주인공들이 갇혀있내.

에일리언 - 우주선에 인간과 외계인이 갇혀있내.

스피드 - 달리는 버스안에 폭탄과 경찰이 갇혀있내.

시티오브갓 - 답 없는 도시에 마약상끼리 갇혀있내. 

노예 12년 - 흑인이 백인우월주의 도시에 갇혀버렸내.


더 예시를 들 필요는 없는 듯하다. 뇌를 간지럽히는, 다음 장면을 궁금하게하는, 강렬한 긴장감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가?

드러나는 것은 공간의 구조다. 닫힌계에 밀도를 걸면 이야기는 술술 전개된다. 질의 감각을 획득하기다. 에일리언보다

시티오브갓이나 노예 12년에 더 점수를 준다면, 그것은 작품의 이야기와 관객이 통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이라면

몰라도 남미인이나 흑인이라면 느끼는 그런거 있겠다. 작품안의 긴장이 작품바깥의 관객의 일상에서 느낀 긴장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소실점 바깥에 소실점 하나 더 찾기다.


그래서 결론은...? 일상속의 타자성을 깨닫기. 지구라는 닫힌계 안에 트럼프와 갇힌 처지. 깨달음의 구조안에 갇힌 처지.

인생이라는 영화속에 필름은 이미 돌아가고 있다. 뉘라서 벗어날수 있는가? 벗어날수 없다면 영화한편은 찍고 가야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371
1759 자와 콤파스. 1 아제 2010-02-06 5395
1758 툰서방의 구조론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3-02 5394
1757 탄허스님의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6-05-09 5383
1756 손톱 발톱 모래톱 image 3 김동렬 2012-01-03 5382
1755 질문)구조론을 읽다가..질. 량. 아시는분? 2 x맨의 비극 2007-11-30 5379
1754 국민 불패 선거 구조 2 ░담 2010-06-03 5372
1753 왕의 시대 그리고 민중의 시대 image 5 김동렬 2015-02-09 5363
1752 구조론적 육아법 2 김동렬 2012-02-20 5363
1751 대답해도 되는 질문 17 김동렬 2013-07-09 5358
1750 파시즘의 도래 가능성 1 선풍기 2009-03-01 5354
174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4-26 5335
1748 구조론 3줄 요약 바람21 2022-07-31 5334
1747 교사란 무엇일까요? 4 후추 2009-02-23 5325
1746 서늘한 날. image 3 참삶 2009-01-16 5320
1745 질문 - 숨은 전제를 찾아보세요. 8 김동렬 2013-02-09 5313
1744 1980년대, 2000년대의 2 사이클 dksnow 2023-05-06 5307
1743 구글 바드 테스트 image 1 chow 2023-04-21 5306
1742 쉬어가며 읽는 글: 서로 다른 관점이 낳는 오해의 예 2 기준님하 2009-07-21 5301
1741 이스터 섬의 진실 4 김동렬 2014-06-30 5296
1740 내가 미친건가? 13 오세 2010-02-17 5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