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프라임 2008년 7월 7일자 방송이라는 군요.
상우님의 글을 보고 문득 떠올라 올려봅니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사람이 자신에 대한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기 위해선 자신이 인지하지 못하고 휩쓸리고 있던 상황과
그 상황이 자신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즉 마치 뉴스에서 교실을 조망하듯 밖에서 단순히 사물로써
왕따를 바라보는 관점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그 상황으로 들어가 왕따를 사건으로써 안에서
밖을 바라보는 관점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그럴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아마도 역할 바꿈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간단히 말해 '나는 저 애와 달라.'라고 믿었던
당연한 전제를 뿌리채 흔들어 놓는 것이죠.
결국 자신이 역할 바꿈을 통해 느꼈던 감정만큼 그동안
왕따를 당했던 아이에 대한 공감 역시 커지게 되는 효과
를 가져올 수 있는 듯 합니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공감에 대한 방법론적인 이야기일뿐
의사결정 주체의 완성이라는 본질적인 이야기는 아닙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 아이들에게
'왜 왕따를?'이라는 목적어에 대한 물음이
"왜 인간은?"이라는 주어에 대한 물음으로 뒤바뀐다면
그 순간 의사결정 주체에 대한 교육은 이미 시작된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아마도 지금 떠오르는 이 에피소드가 피동적인 아이들을
의사결정의 주체로 나아가게 하는 교육에 대한 단적인 예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2009년 청소년 대표팀의 첫번째 소집 훈련이 열렸던 날.
훈련 중 선수들을 전반으로 나눠 8대8 볼 뺏기 게임을 하고 있었는데
홍명보 감독님은 갑자기 공을 멈추게 하더니 고함을 쳤다.
"너희는 지금 감독이 틀리게 하고 있는데 왜 그대로 하는거야?
왜 다들 꿀먹은 벙어리야?"
마침 감독님이 공격팀에만 유리하게 공을 줘 불공평하게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는 느낌이 드는 찰나였다.
감독님은 "시키는 대로 훈련하지 말고 생각을 하면서 해.
'왜 저 쪽에만 공을 주는거냐' 고 말할 줄 알아야 돼"라고 말씀하셨다.
나에게는 큰 충격이었다. 그동안 배워온 축구는 하라는 대로만
하면 됐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감독님은 정반대로 지도하셨다.
하나부터 열까지, 선수 스스로가 주도적으로 훈련을 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하셨다. 그래야 선수가 책임감을 더 갖고 훈련에 나선다는 논리였다.
-축구선수 김보경 인터뷰에서 발췌-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