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990 vote 1 2023.07.09 (21:47:36)


    구조는 다섯이다. 사람을 당황하게 하려는 의도가 있다. 왜 다섯인가 하고 반문하게 하려는 것이다. 프로세스가 있다. 절차가 있다. 공정이 있다. 기능이 있다. 단계가 있다. 순서가 있다. 질서가 있다. 그것을 구조로 명명했지만 그 이상이다. 구조를 말하면 공간의 구성요소를 떠올리기 마련이다. 시간의 순서를 놓치면 안 된다. 그것은 변화의 프로세스다.


    구조만 다섯인 것이 아니다. 모든게 다섯이다. 존재는 다섯이다. 사건은 다섯이다. 의사결정은 다섯이다. 변화는 다섯이다. 에너지의 경로를 추적하면 다섯이다. 물체만 다섯인 것이 아니라, 생물만 다섯인 것이 아니라, 사업만 다섯인 것이 아니라, 액션만 다섯인 것이 아니라 다섯이 아닌 것은 우주 안에 없다. 충격을 받아야 한다. 전율을 느껴야 한다.


    다섯은 완전성이다. 그것은 존재의 단위다. 다섯이 아니면 존재가 불성립이다. 에너지는 다섯으로 분류되므로 다섯일 수밖에 없다. 구조론은 분류이론으로 시작되었다.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 에너지의 전달경로를 추적하여 분류하면 다섯이다. 에너지는 전달하고 또 전달받는다. 전달은 움직임이다. 움직임은 변화다. 변화는 다름이다. 다름은 둘이다.


    1. 주는 쪽이 있다.

    2. 주는 쪽이 움직인다.

    3. 주는 쪽과 받는 쪽이 서로를 공유한다.

    4. 받는 쪽이 움직인다.

    5. 받는 쪽이 멈춘다.


    에너지를 전달하여 주는 자도 움직이고 전달받는 자도 움직인다. 움직이면 둘이다. 주는 자와 받는 자 사이에 둘의 접점이 있다. 겹침이 있다. 주는 쪽과 받는 쪽은 그 접점을 공유한다. 예외가 없다. 다섯이 아닌 방법으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은 우주 안에 없다. 기뻐해야 한다. 광속이 물리학의 기준이 되듯이 절대적인 기준이 발견된 것이다.


    우리가 다섯을 보지 못하는 이유는 바깥을 보기 때문이다. 우리가 관찰하는 변화는 밖에서 일어난다. 반대로 에너지는 내부에서 일한다. 붓은 아직 종이를 만나지 않았지만 종이의 성질이 붓에 반영되어 있다. 칼은 아직 무를 자르지 않았지만 칼날은 무든 호박이든 자를 태세다. 외부에서 하는 일은 내부에 반영된다. 구성요소는 프로세스를 반영한다.


    존재는 변화다. 변화는 다름이다. 다름은 둘이다. 존재는 일을 전달한다. 받아서 준다. 주는 쪽의 변화 + 받는 쪽의 변화 + 둘의 공유다. 주는 쪽의 변화 2 + 공유 + 받는 쪽의 변화 2 = 5다. 주는 쪽도 변하지 않고는 줄 수 없고 받는 쪽도 변하지 않고는 받을 수 없으므로 각각 2가 되어 합이 4를 이루고 둘의 만남까지 5다. 어떤 것을 전달하려면 다섯이 된다.


  아인슈타인이 광속의 불변을 말하면 사람들은 뜨악하게 생각한다. 왜 불변이지? 그러면서도 시간과 공간은 당연히 불변이라고 생각한다. 그게 변하면 일거리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계산해야 될 것이 늘어난다. 우주 어딘가에 단 하나는 절대적인 것이 있어야 한다. 기준이 있어야 한다. 결국 수긍하게 된다. 변화의 프로세스가 우주의 절대 기준이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3837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28551
2033 일원론의 사유 1 김동렬 2020-07-18 2951
2032 숙명여고 쌍둥이의 경우 1 김동렬 2020-07-19 3296
2031 철학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0-07-19 3472
2030 김어준이 낫다 1 김동렬 2020-07-21 4109
2029 드레퓌스 죽이기 진중권 1 김동렬 2020-07-21 3729
2028 왜 왜가 문제냐? 2 김동렬 2020-07-22 3292
2027 폴란드도 환빠가 문제 1 김동렬 2020-07-22 3813
2026 철학해야 하는 이유 1 김동렬 2020-07-23 3178
2025 구조론의 기본 전제와 기본 자세 image 1 김동렬 2020-07-24 4592
2024 연역과 귀납의 문제 5 김동렬 2020-07-24 3027
2023 구조론의 개념들 1 김동렬 2020-07-25 2829
2022 구조론은 진리다. 1 김동렬 2020-07-26 4338
2021 동원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0-07-26 3300
2020 구조론은 쉽다 5 김동렬 2020-07-27 3201
2019 구조론의 장점 1 김동렬 2020-07-28 4495
2018 참 나쁜 생태주의 5 김동렬 2020-07-28 3559
2017 탈생태주의 제언 1 김동렬 2020-07-29 3036
2016 한국 부동산문제의 특수성 4 김동렬 2020-07-30 4371
2015 왜 김대중인가? 2 김동렬 2020-07-31 3486
2014 세상은 엘리트가 지배한다 6 김동렬 2020-07-31 4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