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347 vote 0 2016.11.21 (21:39:22)

81.jpg

 


   
    관점의 발견 - 구조론은 관계로 본다


    세상은 관계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이것이 일어나면 저것이 일어난다. 만물은 서로 붙잡고 의지하여 일어난다. 구조론은 그 만물의 서로 엮여있음을 본다. 그것이 관계로 보는 관점이다.


    세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두 가지 태도가 있다. 관계로 보는 방법과 반응으로 보는 방법이 그것이다. 에너지로 보는 방법과 물질로 보는 방법이 그것이다. 의사결정구조로 보는 방법과 신체감관에 입수된 인식내용으로 보는 방법이 그것이다. 사건으로 보는 방법과 물질 알갱이로 보는 방법이 그것이다.


    전자는 시작에 서서 끝을 순서대로 보고 후자는 끝에 서서 시작을 되짚어 본다. 전자는 전체에서 부분을 펼쳐보고 후자는 부분에서 전체를 뒤집어 본다. 서 있는 지점이 다르고 바라보는 지점이 다르다. 관측자가 서 있는 지점이 포지션이요 바라보는 지점이 관점이다. 구조론은 세상을 다른 방법으로 본다.


    관계로 보는 관점은 관측대상 그 자체에 내재한 질서로 보는 것이다. 반응으로 보는 관점은 인간의 눈코귀입몸으로 대상을 건드려 되돌아오는 반응을 보는 것이다. 관계로 보는 방법이 옳고 되돌아오는 반응으로 보는 방법은 틀렸다.


    눈코귀입몸으로 입수된 데이터는 하나의 단서일 뿐 그 자체로는 지식이 아니다. 반드시 해석이라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구조론의 방법을 써야 한다.


   555.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55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490
3712 모름지기 깨달을 일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8-27 5725
3711 깨달음은 언어다. image 4 김동렬 2015-08-27 5427
3710 세상은 복제다 2 김동렬 2015-08-28 5162
3709 다시 세상은 복제다. image 1 김동렬 2015-08-30 5424
3708 구조론의 차원 image 김동렬 2015-09-01 5167
3707 자연은 다섯 대칭으로 이루어졌다. image 김동렬 2015-09-03 5889
3706 구조론의 최종결론 image 1 김동렬 2015-09-04 5399
3705 우주의 기원 image 김동렬 2015-09-06 5258
3704 전우치가 실패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5-09-08 6312
3703 고쳐 쓴 우주의 기원 image 김동렬 2015-09-08 5716
3702 예수의 언어 image 22 김동렬 2015-09-09 8417
3701 예수는 좋은 사람이다 image 33 김동렬 2015-09-14 6755
3700 깨달음은 말할줄 아는 것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9-16 5851
3699 깨달음은 언어감각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9-16 5816
3698 깨달음은 엔지니어의 관점이다. image 3 김동렬 2015-09-17 6212
3697 판을 키우는게 깨달음이다 image 김동렬 2015-09-18 5952
3696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9-19 5205
3695 고쳐쓴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9-20 5004
3694 구조론은 간단하다 image 김동렬 2015-09-21 5539
3693 구조론의 다섯 포지션 image 김동렬 2015-09-21 5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