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read 3349 vote 0 2012.10.22 (00:41:56)

커피 한 잔 마시고..

아제.

아제라는 닉 네임.

편합니다. 아제요~

너무 가깝지도 않고 멀지도 않은 편한 거리.

한편,아제는 편하지 않습니다.

자꾸 가자고 등 떠다밉니다.

뭐하고 있냐.어서 가자.

그리고 결국,

아제는 편하고 안편하고를 초월합니다.

언덕을 넘어가 버리는 것이죠. 바라승 아제.

뭔가 감이 오지요?

변증법의 냄새가..

주역의 易을 문자 풀이할 때 이렇게 사용합니다.

易은 단(單)하고 변(變)하며, 또한 불변(不變)이다.

아제는 그런 뜻으로 사용합니다.

친근한 아제요~에서 반야심경의 마지막 만트라까지..

반야심경.

아제에겐 각별합니다.

반야심경은 기존 불교의 경전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반야심경이 불교 안에서 그 전유물로 썩기에는 아깝습니다.

반야심경은 불교의 자폭버전입니다.

머언 미래를 겨냥한 붓다 최고의 정수를 詩로 표현한 것입니다.

그래서 반야심경은 대승의 선언이며, 그 이정표가 된 것입니다.

반야심경에서 불교 지성의 아름다움이 펼쳐지기 시작한 것입니다.

아제아제.

반야심경은 일반인에게 이야기한 것이 아닙니다.

반야심경은 부처님 자신에 대한 위대한 거역입니다.

종단(?)의 대표인 사리자에게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부처님 자신의 여태한 모든 이야기를 소각시키는

마지막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소승을 끝내버리겠다는 것이 반야심경입니다.

사리자는 소승의 대표성을 띄고 있습니다.

동시에 부처님은 여태 소승을 이야기하고 가르친 것입니다.

이는 계획표에 있는 것입니다.그럴 수 밖에 없습니다.

소승으로 시작하는 것도 필연이고

그 소승은 대승으로 거듭나야 하는 것도 필연입니다.

<있다.> <하라>로 시작한 소승이 완성될 즈음에

부처님 자신이 만들어 준 매뉴얼을 <없고도 없다>로 완전히 불태워 버립니다.

사리자와 그 제자들이 들여다 보고 있는 책을 빼앗아 버리는 것이죠.

그런데..그것을 <반대>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완성입니다.

부처님은 반야심경에서 <연기법>을 파괴해 버립니다.

그런데 그것은 파괴가 아니라 완성이며, 동시에 한차원 위로 올려 버리는 것입니다.

나가라~ 이거죠.

"쌈지 뜨면 망하나니, 정(正)을 품고 대해로 나가라~" == 바둑 격언 중에서 ==

그게 반야심경의 마지막 문구입니다.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

이는 불교의 언어가 아닙니다.

불교를 넘어 온누리로 퍼져가는 혁명의 언어입니다.

모지 사바하.

빠이~


[레벨:12]부하지하

2012.10.23 (21:56:51)

 너구리가 굴에서 안나오면 불을 피워 연기를 들이 밀면 되지만, 동물학대라서 안되고, 어째야 하나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421
498 김유신묘 관련 이야기 조금 더 김동렬 2012-03-04 5022
497 진화의 목적은 없는가? 9 김동렬 2013-12-29 5028
496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5041
495 '기준님하'의 '노무현이 죽는 이유에' 대한 댓글. 3 눈내리는 마을 2009-07-24 5042
494 쉬어가며 읽는 글: 우리는 왜 자본주의를 해야하는 거죠? 기준님하 2009-07-23 5046
493 시스템에서 감각으로 5 양을 쫓는 모험 2009-06-04 5049
492 존재론과 인식론 아제 2010-12-09 5050
491 이 거짓말에 대해 논해보시오. 7 김동렬 2013-08-18 5053
490 노무현이 죽는 이유 그리고 우리가 필승하는 방법 4 이기준 2009-07-22 5059
489 요즘 초딩들은 무서워. image 김동렬 2015-05-06 5066
488 본격 변희재 때리는 만화 image 7 김동렬 2016-10-10 5066
487 [질문] 개념도에 나오는 모래시계의 사례에서. 3 르페 2009-01-06 5067
486 여전한 서구의 인종주의 6 김동렬 2013-08-25 5073
485 답이 나온 문제 18 김동렬 2013-02-27 5075
484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 1 김동렬 2013-10-21 5076
483 집 한 채의 미학. 6 아제 2010-02-04 5093
482 시선의 방향 4 lpet 2010-10-27 5095
481 뇌에 ‘유령 신경세포’ 많다 2 김동렬 2011-01-18 5100
480 김동렬을 대신해서 씀 2 기준님하 2009-07-21 5110
479 남녀간의 사랑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자유 2008-11-09 5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