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92 vote 0 2023.11.27 (16:39:01)

    불협화음


    인간의 뇌는 자동보정 기능이 있다. 잘못된 것을 보면 불편함을 느껴야 한다. 불협화음을 들으면 불쾌해져야 한다. 영화의 편집술이 처음 등장했을 때다. 필름을 잘라 붙였다. 갑작스런 장면전환에도 관객들은 당황하지 않았다. 편집충격에 멀미를 하는 사람은 없었다. 이러면 픽션이 가능해진다. 그게 문제다. 많은 것이 잘못되어 있다. 인간은 뇌의 자동보정 기능에 속는다. 자신이 보지 못한다는 사실을 보지 못한다. 핵심을 놓치고 있다는 사실을 놓친다. 구조는 연결이다. 연결부위가 어색하다. 그러나 사람들은 아무렇지도 않은 표정을 짓고 있다. 잘못 조립된 자동차의 작은 단차에는 크게 화를 내면서도 말이다.


    의사결정


    인간의 진실은 의사결정권이다. 인간에게는 권력과 의리와 사랑과 믿음이 필요하다. 모두 연결하면 신이다. 신은 권력이다. 권력은 의사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것은 이기는 힘이다. 힘을 가지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이기는 팀에 들어야 한다. 인간은 뇌의 자동보정 기능에 속는다. 뇌는 자아와 몸과 소유와 집단과 환경 중에서 어디까지 자신에 속하고 혹은 타자에 속하는지 구분하지 못한다. 나와 타자의 구분은 그때그때 정해질 뿐 분명한 경계가 없다. 인간은 이겨먹고 싶을 때 이길 수 있는 지점에 선을 긋는다. 내가 이기는 것보다 내 편이 이겨야 한다. 때로는 그게 더 의사결정하기 편하기 때문이다.


    신의 진화


    태초에 권력이 있었다. 권력은 보이지 않는 힘이다. 보이지 않는 권력을 말로 전달할 수 없으므로 신을 발명한다. 신은 진화했다. 인간들이 도무지 말을 들어먹지 않으므로 신권은 점차 강화된다. 씨족이 부족 되고, 부족이 국가 되면서 집단의 권력이 강해지는 정도에 비례하여 신앙은 일신교로 수렴된다. 신은 권력이고 권력은 때로 저항의 무기가 되기 때문이다. 심지어 신이 성전환을 하는 일도 있다. 셈족의 태양신 샤마쉬는 본래 여신이었는데 남신으로 바뀌었다. 여성성이 상징하는 생산력보다 남성성이 상징하는 전쟁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더 진화해야 한다. 발견이 발명에 앞선다. 발견된 신이 진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2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41
6792 손호철, 임지현, 문부식, 진중권들과 변절의 공식 김동렬 2003-06-08 19816
6791 광대역 웹캠 최신버전 김동렬 2003-06-10 19792
6790 탤런트 이유진의 고백 김동렬 2003-05-30 19784
6789 휘발유통에 라이터를 켜대는 난폭자의 등장 image 김동렬 2003-02-19 19742
6788 박정희의 슬로건 - 중단없는 전진 김동렬 2002-12-15 19734
6787 인지부조화와 확증편향 6 김동렬 2014-07-21 19695
6786 까뮈의 이방인 김동렬 2006-07-14 19618
6785 '신은 없다' 호킹 발언 김동렬 2010-09-12 19611
6784 동영상 강의 김동렬 2010-01-25 19601
6783 구조는 자이로스코프다. image 11 김동렬 2012-01-11 19577
6782 구조론 개념도 image 김동렬 2008-08-25 19563
6781 인터넷 글쓰기의 폐단인가?(펌) (노혜경) 2003-06-12 19534
6780 군대가서 좋은 점 image 김동렬 2003-07-14 19530
6779 "`고맙다 김대중`이라고 말하라" 김동렬 2003-01-10 19501
6778 맥아더의 동상을 철거하라 2005-09-17 19487
6777 물레방아와 축구경기 image 김동렬 2011-06-18 19467
6776 그림풀이 image 김동렬 2010-03-05 19382
6775 Re..실은 육지와 바다에 한 쌍의 손이지요. image 김동렬 2002-09-15 19374
6774 죄송한데여... 노원구민 2002-12-15 19336
6773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6-02-11 19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