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989 vote 0 2013.07.08 (23:24:45)

  0880.jpg


    쉽게 생각하자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일의성에 의해 엮여있다. 생각을 쉽게 하는 방법은 그 엮임을 정복하는 것이다. 엮어서 생각하기다. 정보를 낱개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세트로 처리하기다.


    과자 봉지는 뜯어서 먹지만 조립된 자동차는 그대로 운전하면 된다. 그것은 머리를 쥐어짜지 말고 간단히 툴을 쓰는 것이다. 분석하지 말고 직관하는 것이다. 텍스트를 버리고 모형을 쓰는 것이다.


    더하기로 복잡하게 만들지 말고 빼기로 술술 빼내는 것이다. 흩어진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통짜덩어리 사건으로 보는 것이다. 부분의 불완전성을 버리고 전체의 완전성으로 보는 것이다. 엮어서 쉽게 생각하자.


   

123u.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20]냥모

2013.07.09 (00:04:17)

도장이 원본과 복제본이 찍는 순간 엮임으로 만들어지지만, 복제본이 잘 보이게 하려면, 원본은 보이는 것과 반대로 도장을 파야 한다는 것. 구조적 글쓰기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사건은 연역으로 일어나지만, 미디어는 귀납으로 풀어간다는 것. 사건은 하나의 사실로 연역과 귀납이 엮여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7.09 (00:10:04)

구조론은 연역밖에 없소.

귀납하고 있다면 아직 뭔가 부족한 것이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냥모

2013.07.09 (00:15:51)

귀납이라고 하지만 사실 연역의 일부.

하나의 사실을 두고 사건의 전개와 미디어가 전개가 전환되지만, 사실 미디어의 전개도 큰 사건의 부분.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7.09 (00:21:49)

자동차를 조립하는게 귀납이고

자동차를 운전하는게 연역이라면

자동차를 운전하기 전까지는 자동차가 아니오.

100퍼센트 조립된 자동차도 기름을 채우기 전까지는 자동차가 아니오.

기름을 채운 자동차도 시동걸기 전까지는 자동차가 아니오.

시동건 자동차도 달리기 전까지는 자동차가 아니오.

귀납의 오류는 자동차가 아닌 것을

어차피 조금 있으면 자동차가 될 테니까

맘씨좋게 자동차라고 쳐주자고 친절을 베풀어서 일어난 착오이오.

이런 일이 일어나는 이유는 같은 사건이 반복되기 때문이오.

반복을 배제하고 순수한 상태에서 보면 귀납은 없소.

단지 귀납적이 있을 뿐이오.

귀납적에 머무르면 아직 완벽하지 않소.

사실 자동차는 어떤 경우에도 완전하지 않소.

자동차의 운전자가 탑승해야 완전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15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092
3794 자유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4-02-18 10074
3793 사건이냐 사물이냐 image 1 김동렬 2013-05-09 10073
3792 세상의 작동원리 김동렬 2013-11-11 10072
3791 우주의 모형 image 2 김동렬 2013-11-22 10069
3790 칭찬교육의 함정 image 4 김동렬 2013-05-06 10060
3789 지성인의 자격 1 김동렬 2013-12-18 10041
3788 당신이 동기화 된 지점 image 2 김동렬 2013-04-22 10036
3787 신은 누구인가? image 4 김동렬 2013-03-27 10032
3786 결 도 리 법 질서 image 2 김동렬 2012-06-24 10029
3785 구조지능의 문제 1 김동렬 2018-05-11 10026
3784 불완전한 반존재들 image 김동렬 2013-06-10 10024
3783 강자의 철학으로 갈아타라 김동렬 2018-06-02 10018
3782 수박겉핥기 역사 4 김동렬 2013-09-17 10007
3781 구조론이 주문하는 삶의 태도 image 3 김동렬 2012-07-04 10001
3780 한 호흡에 쓰기 image 7 김동렬 2013-03-26 10000
3779 진화론과 진보론 image 2 김동렬 2013-10-18 9998
3778 최후에 결정하는 자가 되라 김동렬 2014-02-05 9994
» 쉽게 생각하자 image 4 김동렬 2013-07-08 9989
3776 하버드 교수식당 3 김동렬 2014-01-22 9983
3775 보통사람의 보통 생각은 보통 틀린다. 2 김동렬 2018-06-03 9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