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934 vote 0 2013.06.13 (18:54:37)

    당신 앞에 문이 하나 있다. 문 안쪽에 신세계가 있다. 낯선 세계로 들어설 것인가 말것인가는 당신이 결정할 수 있다. 문 안쪽에는 존재가 있다. 그 존재를 받아들일 것인가이다.


    야구는 9이닝을 하고, 배구는 5세트를 하고, 복싱은 3라운드를 뛴다. 바둑은 국, 씨름은 판, 경마는 경주다. 리그나 토너먼트도 있다. 이닝이든 세트든 라운드든 한 회의 사건이다.


    그것을 하나의 존재 단위로 치는 것이 양자론의 세계다. 하나의 상호작용 단위를 하나의 입자로 친다. 그대가 이러한 관점을 받아들일 것인가이다. 그렇거나 말거나 우리의 인생은 한 이닝이다.


    우리는 공간에 놓여있는 사물을 존재로 친다. 양자론의 세계는 사건을 존재로 친다.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 확실한 것은 양자의 세계를 받아들이고 사물에서 사건으로 인식의 비약을 이룰 때 상상력의 폭은 백 배로 커진다는 점이다.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기 시작한다. 완전히 다른 인생을 살게 된다. 결정하라. 어차피 인생은 한 번의 주사위 던지기가 아닌가.


    ※※※


    존재가 인식을 낳고, 인식이 사유를 낳고, 사유가 행동을 낳고, 행동이 삶을 낳는다. 존재는 자연에 있고 삶은 인간에 있다. 인간의 삶은 궁극적으로 자연에서 끌어오는 것이다. 이것이 진리의 결이다.


    일찍이 룻소는 ‘자연으로 돌아가라’고 했고 노자는 ‘무위자연’이라 했다. 자연이야말로 인간 행동의 궁극적 근거다. 자연의 참모습을 꿰뚫어보는 힘을 얻어야 한다. 자연의 본래 모습이 존재다.


    존재로부터 시작한다. 인간이 어떻게 사유하느냐는, 인간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느냐가 결정하고 인간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느냐는 자연이 어떻게 존재하느냐가 결정한다.


    존재가 먼저고 인식이 다음이며 사유는 그 다음이다. 그리고 행동으로 이어진다. 이야기는 마침내 삶으로 완결된다.


    ◎ (자연) 존재≫인식≫사유≫행동≫삶 (인간)


    구조론은 세상을 구조로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왜 새롭게 바라보는가? 존재가 다르기 때문이다. 세상의 존재를 설명한 사람은 뉴턴이었다. 그런데 틀렸다. 20세기의 최대 성과인 양자론은 뉴턴을 완벽하게 극복하고 있다. 존재가 틀렸으므로 바라보는 시선도 달라져야 한다.


   

 

   

 

    ###

 

   

345678.jpg

 

.

 




[레벨:8]상동

2013.06.13 (21:17:29)

모든 사건은 나에게 던져진 질문이다 '방관자로 살것인가? 결정하는자로 살것인가?'

삶으로 답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18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155
3615 의도가 지배한다 12 김동렬 2015-04-16 6815
3614 권한이냐 보상이냐 김동렬 2014-08-06 6818
3613 왜 남인세력이 문제인가?(수정) image 김동렬 2016-04-30 6843
3612 역사는 유목민이 만들었다 image 4 김동렬 2016-02-27 6847
3611 구조론을 만만히 보지 말라 image 김동렬 2015-05-23 6860
3610 총균쇠의 관점 image 1 김동렬 2015-05-20 6864
3609 구조론 백이십문백이십답 image 김동렬 2016-09-11 6868
3608 구조주의 우주론 image 김동렬 2016-09-17 6876
3607 용기있는 자가 진리를 본다 image 4 김동렬 2015-05-04 6896
3606 사건의 결을 따라가기 김동렬 2014-07-30 6904
3605 미련한 곰도 깨달을 수 있다. image 3 김동렬 2015-01-20 6915
3604 물리법칙 image 1 김동렬 2015-03-21 6915
3603 손가락을 가리키면 달을 본다 image 2 김동렬 2015-02-04 6917
3602 자기 둥지로 시작하라 2 김동렬 2014-07-05 6921
3601 해파리의 실패 image 1 김동렬 2015-06-19 6923
3600 열린 사회는 힘이 있다 2 김동렬 2018-07-28 6928
3599 대칭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5-03-31 6929
3598 에너지의 카오스와 코스모스 image 1 김동렬 2015-06-28 6929
3597 구조로 보아야 역사가 보인다 image 2 김동렬 2014-12-04 6930
3596 무에서 유로 도약하라 1 김동렬 2014-07-03 6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