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698 vote 0 2016.10.14 (23:34:40)

 

43.jpg

   
    인간이 관측하다


    인간은 학문으로 일어서고, 학문은 과학으로 달성되며, 과학은 수학에 의지하고, 수학은 1로 시작한다. 1은 공집합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최초에 집합이 있었다. 그 집합은 정의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는 얼버무린 것이다. 허술하다. 구조론은 2로 시작한다. 최초에 쌍이 있었다. 먼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이 쌍을 이룬다. 그 구조를 복제한다. 쌍을 이루는 관측자와 관측대상 둘을 연결하는 매개변수가 1이니 축을 이룬다. 그 축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구조를 복제하니 2와 3이 얻어진다. 그리고 계속 간다. 쌍은 양자얽힘처럼 원래부터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하며 사건을 이루어 존재를 도출한다. 짝지어진 2에서 매개변수 1을 보는 것이 구조론이요, 반면 1에서 2를 보다 발산되어 실패하는 것이 근대과학의 한계다. 최초의 쌍은 에너지의 속성인 상호작용이다. 사건을 이루고 존재를 도출한다. 



555.jpg


    모든 것의 시작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 그리고 그 사이에 성립하는 매개변수가 축을 이루고 인식이라는 사건을 일으켜 존재의 사실을 복제하는 것입니다. 뇌 안에 들어온 시각과 청각의 신체감관에 의지한 데이터는 추론의 단서가 될 지언정, 논리의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73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420
3710 모름지기 깨달을 일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8-27 5718
3709 깨달음은 언어다. image 4 김동렬 2015-08-27 5415
3708 세상은 복제다 2 김동렬 2015-08-28 5153
3707 다시 세상은 복제다. image 1 김동렬 2015-08-30 5415
3706 구조론의 차원 image 김동렬 2015-09-01 5145
3705 자연은 다섯 대칭으로 이루어졌다. image 김동렬 2015-09-03 5875
3704 구조론의 최종결론 image 1 김동렬 2015-09-04 5384
3703 우주의 기원 image 김동렬 2015-09-06 5246
3702 전우치가 실패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5-09-08 6303
3701 고쳐 쓴 우주의 기원 image 김동렬 2015-09-08 5709
3700 예수의 언어 image 22 김동렬 2015-09-09 8409
3699 예수는 좋은 사람이다 image 33 김동렬 2015-09-14 6745
3698 깨달음은 말할줄 아는 것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9-16 5844
3697 깨달음은 언어감각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9-16 5810
3696 깨달음은 엔지니어의 관점이다. image 3 김동렬 2015-09-17 6206
3695 판을 키우는게 깨달음이다 image 김동렬 2015-09-18 5947
3694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9-19 5196
3693 고쳐쓴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9-20 4991
3692 구조론은 간단하다 image 김동렬 2015-09-21 5528
3691 구조론의 다섯 포지션 image 김동렬 2015-09-21 5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