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8531 vote 0 2008.12.31 (13:00:45)

완전성의 과학 구조론

구조론은 자연의 완전성을 탐구하는 과학이다.

구조론은 데이터에 어떻게 포지션을 부여할 것인가? 포지션에 어떻게 밸런스를 부여할 것인가? 밸런스에 어떻게 플랫폼을 부여할 것인가? 그리고 이를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것인가를 논한다.

구조는 이렇게 점차 고도화 되어 '완전성'에 이른다. 자연은 완전할 때 뻗어나간다. 구조는 완전할 때 작동한다. 그 날개를 편다. physical의 어원은 ‘펼쳐진다, 뻗어간다’는 뜻이다. 자연은 뻗어나가는 것이다.

자연에서 완전한 것은 피어나는 생명이다. 씨앗처럼 움츠리고 있다가 봄을 맞이한 새싹처럼 펼쳐져 나온다. 꽃처럼 활짝 피어난다. 구조론은 그 자연의 완전성, 생명성, 진보하고 뻗어나가는 성질을 탐구한다.

구조는 데이터(값, 정보)에서 포지션(짝, 쌍)으로, 밸런스(평형계)로, 플랫폼(구조체)으로, 시스템으로 뻗어나간다. 우리는 구조체의 모델링과,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일의 완전성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작동이 일(work)이다. 에너지의 입력과 출력에 따른 일의 1사이클이 존재한다. 세상은 일의 집합이다. 구조론은 일을 해명한다. 자연이 일하여 생명으로 발전하듯이 인간은 일하여 문명으로 발전한다.  

그 지점에서 인간의 일은 자연의 생명성을 얻는다. 공명한다. 울림과 떨림이 전파된다. 봄을 맞이하여 새싹들이 깨어나듯 일제히 분출한다. 폭발한다. 혁명한다. 우리가 꿈꾸는 진정한 세계가 그곳에 있다.

구조론은 폭넓은 지평을 가진다.
구조론은 완전성을 통하여 이상주의로 나아가는 철학이고
세상을 해석하는 경로를 제시하는 과학의 방법론이며
자연의 완전성을 인간의 삶의 양식으로 내면화 하는 데서 미학이고
신의 완전성과 소통하는 데서 깨달음이다.
인류의 집단지능으로 바라보는 데서 세계관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 줄에 꿰어 하나의 논리로 일관되게 설명하는 총괄이론이다.

www.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95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803
1972 구조론의 자부심 김동렬 2023-06-17 3907
1971 모든 집회는 합법이다 김동렬 2021-07-24 3906
1970 전율하라 김동렬 2023-07-09 3904
1969 인류 문명의 맹점 김동렬 2022-09-06 3901
1968 일론 머스크의 삽질 7 김동렬 2021-05-17 3901
1967 위하여는 배척된다 17 김동렬 2019-05-11 3900
1966 배신의 정치 윤석열 김동렬 2022-01-04 3897
1965 고수 이재명 하수 윤석열 김동렬 2022-01-08 3896
1964 세상은 상호작용이다. 1 김동렬 2021-09-17 3896
1963 인간 이재명 김동렬 2021-12-27 3895
1962 노무현 죽이기 김동렬 2022-09-14 3893
1961 사랑은 권력이다 김동렬 2021-07-18 3893
1960 마음의 구조론적 관점 1 김동렬 2019-02-24 3892
1959 감각의 날을 세워보자 4 김동렬 2018-12-28 3892
1958 세종과 노무현의 싸움 김동렬 2020-10-09 3891
1957 육이오의 원인 3 김동렬 2020-06-25 3890
1956 거짓말과 폭력 김동렬 2023-06-01 3889
1955 인간이 멍청해지는 이유 김동렬 2022-03-04 3889
1954 엘리트 정신이 필요하다 3 김동렬 2019-01-16 3888
1953 김동렬의 구조론 image 4 김동렬 2023-06-11 3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