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8558 vote 0 2008.12.31 (13:00:45)

완전성의 과학 구조론

구조론은 자연의 완전성을 탐구하는 과학이다.

구조론은 데이터에 어떻게 포지션을 부여할 것인가? 포지션에 어떻게 밸런스를 부여할 것인가? 밸런스에 어떻게 플랫폼을 부여할 것인가? 그리고 이를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것인가를 논한다.

구조는 이렇게 점차 고도화 되어 '완전성'에 이른다. 자연은 완전할 때 뻗어나간다. 구조는 완전할 때 작동한다. 그 날개를 편다. physical의 어원은 ‘펼쳐진다, 뻗어간다’는 뜻이다. 자연은 뻗어나가는 것이다.

자연에서 완전한 것은 피어나는 생명이다. 씨앗처럼 움츠리고 있다가 봄을 맞이한 새싹처럼 펼쳐져 나온다. 꽃처럼 활짝 피어난다. 구조론은 그 자연의 완전성, 생명성, 진보하고 뻗어나가는 성질을 탐구한다.

구조는 데이터(값, 정보)에서 포지션(짝, 쌍)으로, 밸런스(평형계)로, 플랫폼(구조체)으로, 시스템으로 뻗어나간다. 우리는 구조체의 모델링과,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일의 완전성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작동이 일(work)이다. 에너지의 입력과 출력에 따른 일의 1사이클이 존재한다. 세상은 일의 집합이다. 구조론은 일을 해명한다. 자연이 일하여 생명으로 발전하듯이 인간은 일하여 문명으로 발전한다.  

그 지점에서 인간의 일은 자연의 생명성을 얻는다. 공명한다. 울림과 떨림이 전파된다. 봄을 맞이하여 새싹들이 깨어나듯 일제히 분출한다. 폭발한다. 혁명한다. 우리가 꿈꾸는 진정한 세계가 그곳에 있다.

구조론은 폭넓은 지평을 가진다.
구조론은 완전성을 통하여 이상주의로 나아가는 철학이고
세상을 해석하는 경로를 제시하는 과학의 방법론이며
자연의 완전성을 인간의 삶의 양식으로 내면화 하는 데서 미학이고
신의 완전성과 소통하는 데서 깨달음이다.
인류의 집단지능으로 바라보는 데서 세계관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 줄에 꿰어 하나의 논리로 일관되게 설명하는 총괄이론이다.

www.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87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834
1975 환원주의와 엔트로피 2 김동렬 2020-08-18 2488
1974 아스퍼거에 대해서 4 김동렬 2020-08-19 3297
1973 구조론과 창발주의 1 김동렬 2020-08-19 2255
1972 욕망과 구조론 1 김동렬 2020-08-19 3058
1971 바지사장 김종인의 도게자 1 김동렬 2020-08-20 3547
1970 문명의 기원 2 김동렬 2020-08-21 3532
1969 국뽕의 진실 1 김동렬 2020-08-22 3691
1968 구조론은 언어다 2 김동렬 2020-08-23 2239
1967 전광훈 문제 본질은 엘리트 길들이기 1 김동렬 2020-08-23 3078
1966 구조론은 엘리트주의다 1 김동렬 2020-08-23 2806
1965 엘리트가 나라를 구한다 1 김동렬 2020-08-24 2999
1964 나약해진 요즘 젊은이들 1 김동렬 2020-08-25 3310
1963 구조론과 철학 1 김동렬 2020-08-25 2575
1962 성교육의 문제 1 김동렬 2020-08-26 3052
1961 도구를 다루는 것이 철학이다 2 김동렬 2020-08-26 2660
1960 도구가 있어야 한다. 2 김동렬 2020-08-27 2612
1959 본질주의와 도구주의 1 김동렬 2020-08-27 5199
1958 도구주의 관점 김동렬 2020-08-28 2445
1957 테넷, 열역학 1법칙과 2법칙 김동렬 2020-08-28 3564
1956 NC의 선수 죽이기 1 김동렬 2020-08-28 4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