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9080 vote 0 2009.01.15 (14:52:22)

675.jpg

그림 원본은 이현세의 버디 스포츠서울

676.JPG


4개의 시점을 표시했지만 하나하나 뜯어보면 더 있다. 오른팔도 잘못되어 있다. 이현세는 인체를 해체해서 하나하나 따로 그린 다음 엉성하게 조합한 것이다. 그러다보니 시점과 시점의 사이에 치인 목이 이상해진다.

두 발의 간격도 너무 멀다. 발의 각도도 이상하다. 왜 이 부분이 중요한가? 사실, 의미, 가치, 개념, 원리 중에서 각 부분을 통일하는 것은 개념이다. 개념이 없으니 그림이 이렇게 나오는 것이다.

생각해보자. 어린이에게 그리기를 시키면 꽃와 집과 사람과 강아지를 거린다. 그냥 그린 것이다. 거기에 제목을 주어야 한다. 그 제목은 하나여야 한다. 무엇을 그렸나? 어린이는 봄풍경을 그렸다.

‘봄풍경’이라는 타이틀을 획득함으로써 비로소 그림은 완성되는 것이다. 타이틀이 각 부분을 하나로 통일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어린이는 꽃과 집과 사람과 강아지를 선 위에 나열한다. 나열하면 텍스트지 이미지가 아니다.

타이틀을 부여한다는 것은 꽃, 집, 사람, 강아지 넷을 봄풍경 하나로 통일한다는 것이다. 하나로 융화되어야 한다. 진열되면 안 된다. 무엇인가? 인체의 여러 부분을 따로따로 그려서 합성해 놓은 것이 매너리즘이다.

의도적으로 그렇게 할 수도 있다. 문제는 이현세의 경우 의도가 아니라는 점이다. 이렇게 그림이 이상해지면 감정표현을 못한다. 그러므로 이현세 만화의 주인공들은 항상 극단적이다.

죽을래 살래? 그 중간이 없다. 은근함이 없다. 오묘함이 없다. 이현세가 버디를 연재하며 요즘 갑자기 갬블을 흉내내서 야한 장면을 그리려하다가 말았는데 뻔하다. 이현세는 야한 그림을 그릴 수 없다.

그림이 안받쳐주니까 에로틱한 분위기를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이게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여자는 왈가닥 아니면 냉혈공주 남자는 지독한 녀석 아니면 무표정 떡대, 아니면 안경잽이 악당.

이래가지고 로맨스가 가능할 리가 없다. 절대적으로 그림이 받쳐주어야 많은 내용을 담을 수 있다. 그림이 토대가 되고 질이 되고 바탕이 되고 기본이 되는 것이다. 리얼리즘이다.

사실주의가 아니라도 좋다. 정열맨의 귀귀처럼 인체를 왜곡해도 좋다. 어떻든 내적 정합성에 맞아야 한다. 그림 안에 과학성이 있어야 한다. 논리가 있어야 한다. 외인구단 영화가 망한 이유는 로맨스가 죽어서다.



http://www.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97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824
1972 신은 있다 김동렬 2021-06-28 3908
1971 모든 집회는 합법이다 김동렬 2021-07-24 3906
1970 전율하라 김동렬 2023-07-09 3904
1969 인류 문명의 맹점 김동렬 2022-09-06 3901
1968 일론 머스크의 삽질 7 김동렬 2021-05-17 3901
1967 위하여는 배척된다 17 김동렬 2019-05-11 3900
1966 배신의 정치 윤석열 김동렬 2022-01-04 3897
1965 고수 이재명 하수 윤석열 김동렬 2022-01-08 3896
1964 세상은 상호작용이다. 1 김동렬 2021-09-17 3896
1963 인간 이재명 김동렬 2021-12-27 3895
1962 노무현 죽이기 김동렬 2022-09-14 3893
1961 사랑은 권력이다 김동렬 2021-07-18 3893
1960 육이오의 원인 3 김동렬 2020-06-25 3892
1959 마음의 구조론적 관점 1 김동렬 2019-02-24 3892
1958 감각의 날을 세워보자 4 김동렬 2018-12-28 3892
1957 세종과 노무현의 싸움 김동렬 2020-10-09 3891
1956 거짓말과 폭력 김동렬 2023-06-01 3890
1955 인간이 멍청해지는 이유 김동렬 2022-03-04 3890
1954 엘리트 정신이 필요하다 3 김동렬 2019-01-16 3889
1953 김동렬의 구조론 image 4 김동렬 2023-06-11 3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