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개인적인 글입니다]

인간의 행동은 긴장으로 촉발되고 이완으로 보상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 밸런스가 있다. 긴장이 동기유발이면 밸런스가 과제수행이고 릴렉스가 성과보상이다. 이 셋을 한 줄에 꿰어낼 때 이야기는 완성된다.

옛 친구를 만났을 때 반가움이 사무쳐 정신이 번쩍드는 것이 긴장이면 마주앉아 허물없는 대화를 나누는 것이 밸런스이고 그럴때 엄마 품의 아기처럼 혹은 고향에 돌아온 것처럼 편안하게 이완되는 것이 릴렉스다.

그 긴장의 출발점과 이완의 종결점이 다시 만나 동그라미를 완성시킬 때 이야기가 얻어진다. 완전히 정신차릴 수 있으면서 완벽한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완전히 릴렉스할 수 있다면 그것이 곧 깨달음의 경지다.    

긴장은 중앙이 지방을 통제하고 뇌가 몸을 통제하는 것이다. 이완은 지방이 중앙을 통제하고 몸이 뇌를 통제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완할 수 있는가이다. 릴렉스하기 어렵다. 릴렉스는 밸런스를 거쳤을 때 한하여 유의미하기 때문이다.

긴장은 병사들이 정렬하여 연단 위의 대장을 바라봄이고 이완은 병사들이 제멋대로 흩어져 놀되 대장의 통제권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완을 위해서는 밸런스가 필요하다. 병사와 대장 사이에 완벽한 소통이 있어야 이완될 수 있다.

긴장의 목적은 밸런스의 유지에 있고 밸런스에 도달하면 이완할 수 있다. 소통될 때 릴렉스할 수 있다. 최고의 팀은 구성원이 제멋대로 흩어져 각개약진하되 대장이 정한 금지선을 넘어서지 않으면서 최고의 팀플레이를 하는 것이다.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 최고의 실력이 나온다. 그것은 지방이 중앙을 통제하는 것이고, 병사 개개인이 대장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팀원 간에 완벽한 밸런스와 완벽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밸런스 없는 릴렉스는 팀을 붕괴시킨다. 밸런스 없는 긴장은 팀을 경직시킨다. 긴장이라는 노력이 릴렉스라는 보상으로 결실하기 위해서는 밸런스라는 고지를 넘어야 한다. 내 안에 이러한 구조를 갖추는 것이 이야기의 획득이다.

내 안의 이야기를 모뎀삼아 자연의 완전성을 포착할 때 인간은 완전히 긴장한다. 전율한다. 내 안의 이야기와 자연의 이야기가 소통할 때 밸런스가 얻어진다. 이를 토대로 인류의 집단지능과 접속할 때 완전히 이완된다. 깨달음의 경지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5373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44240
2428 깨달음은 쉬운가? 김동렬 2008-08-04 12759
2427 야구가 재미있는 이유 image 7 김동렬 2012-05-25 12759
2426 더 이상 상생은 없다! 김동렬 2004-06-07 12768
2425 생물의 진화와 구조론 image 3 김동렬 2017-03-03 12769
2424 만남 그리고 결혼 image 8 김동렬 2011-11-08 12772
2423 반대쪽을 보는 훈련 image 3 김동렬 2017-06-14 12774
2422 편지 보내기 image 김동렬 2009-01-19 12775
2421 세상은 양자화되어 있다. image 김동렬 2017-10-16 12775
2420 스티브 잡스의 성공원인 image 2 김동렬 2012-02-01 12776
2419 지수가 630이면 바닥인가 아다리 2002-10-07 12778
2418 영화 염력의 폭망에 대해 image 김동렬 2018-02-06 12778
2417 오컴의 면도날과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7-09-03 12782
2416 전여옥 인물탐구 부탁합니다 아다리 2002-10-19 12784
2415 인간은 권력적 동물이다. image 김동렬 2018-01-31 12784
2414 민주당이 죽 쑤는 진짜 이유 image 김동렬 2004-01-28 12788
2413 출발점을 사유하라. image 2 김동렬 2017-01-15 12790
2412 서울 한복판에서 만난 개구리소년 김동렬 2002-09-27 12791
2411 성공하는 작품의 공식 image 5 김동렬 2012-01-11 12793
2410 종교와 신 image 1 김동렬 2018-02-25 12799
2409 구조론의 이해 image 1 김동렬 2017-06-12 12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