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811 vote 0 2016.08.01 (23:28:53)

     

    어린이는 별다른 내용이 없는 비디오를 수십 번 반복해서 돌려본다. 줄거리를 다 알고 있는데도 여전히 재미를 느낀다. 그래도 뇌가 반응하기 때문이다. 뻔히 아는 내용이라도 어린이의 뇌는 전혀 싫증내지 않는다. 


    본인이 의식하지 못하는 새 뇌가 패턴을 포착하여 스스로 학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뇌 안에서 뉴런을 연결하여 새로운 경로를 개척하고 있기 때문이다. 깨달음도 이와 같다. 반드시 한 번은 천장을 뚫어야 한다. 


    고도의 집중상태에 들어가야 한다. 어린이는 저절로 그것이 되지만 어른은 의식적으로 도전해야 한다. 패턴을 깨닫고 관점을 바꾸어야 한다. 뇌가 물리적으로 반응하게 만들어야 한다. 경로를 개척하여 뉴런을 심어야 한다. [생각의 정석 126회]


    ###


    깨닫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차이는 뇌가 반응하는가에 있다. 물리적으로 반응해야 한다. 누구라도 첫 등교와, 첫 소풍과, 첫 입사와, 첫 운동회와, 첫 수학여행과, 첫 입대와, 첫 휴가와, 첫 사랑과, 첫 키스는 잘도 기억한다. 


    만나면 즐겁다. 즐겁기 때문에 기억한다. 뇌가 반응하기 때문에 기억한다. 가슴이 들뜨기 때문에 기억한다. 전율하기 때문에 기억한다. 두 번째부터 기억되지 않는다. 두 번째 등교와, 두 번째 소풍과, 두 번째 키스는 잘 기억되지 않는다. 


    그대가 깨닫지 못하는 것은 머리가 나빠서가 아니라 뇌가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며 그것을 첫 키스로 여기지 않기 때문이다. 사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진리와의 첫 만남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555.jpg


    천재는 아이큐가 아니라 반응력입니다. 민감한 자가 전율하고, 전율하는 자가 에너지를 얻고, 에너지를 얻은 자가 끝까지 가고, 끝까지 가는 자가 세상을 바꿉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8.02 (11:25:45)

[생각의 정석 126] 문안인사 필요없다!

http://gujoron.com/xe/70743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08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282
3644 진리를 추적하는 방법 3 김동렬 2013-10-17 9189
3643 칸 앞에서 토론 image 1 김동렬 2013-06-17 9188
3642 끽다거 김동렬* 2012-10-21 9175
3641 5회의 의사결정 1 김동렬 2013-11-20 9157
3640 표준모형의 대칭성 깨짐 image 1 김동렬 2013-06-15 9156
3639 그것이 그것이다 image 1 김동렬 2016-10-06 9153
3638 구조로 본 블레이크와 볼트 김동렬* 2012-10-21 9149
3637 공자가 위대한 이유 1 김동렬 2018-07-14 9146
3636 양자와 직관 image 2 김동렬 2013-06-11 9140
3635 구조론의 제안 image 김동렬 2013-06-10 9138
3634 밖이냐 안이냐? image 3 김동렬 2013-07-04 9122
3633 창의하는 방법 2 김동렬 2014-01-27 9100
3632 돈과 마음은 유혹하지 못한다 5 김동렬 2014-05-12 9097
3631 관계를 깨달음 2 김동렬* 2012-10-21 9093
3630 자아와 의식 4 김동렬 2013-12-01 9092
3629 준비와 시작은 반대다 6 김동렬 2013-10-29 9088
3628 사건이냐 사물이냐 image 2 김동렬 2013-06-26 9088
3627 스물네가지 문답 image 44 김동렬 2012-01-02 9083
3626 세상을 만들어보자. 김동렬 2013-11-08 9082
3625 전여옥 유권자를 고소하다 김동렬 2004-09-24 9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