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062 vote 0 2015.12.14 (16:41:20)

98.jpg

 


   
    수평으로 벌린 다음 수직으로 제압하라. 이것이 구조론의 출발점이다. 처음 모를 때는 이것저것 수단을 가리지 않고 다 시도해 보므로 다원론이다. 둘을 대칭시켜 수평으로 벌리면 급소가 드러나므로 통제가 된다. 조직의 약한 고리가 노출된다. 이에 다원론에서 2원론으로 발전한다. 수직으로 발전해야 완벽하다. 다시 일원론으로 돌아가야 한다. 대칭된 둘이 따로 놀면 안 되고 한 줄에 꿰어져야 한다. 수평구조는 수직구조로 재편되어야 한다. 2층으로 층수가 올라가야 한다. 에너지를 태우면 된다. 


99.jpg  


    하나는 통제할 수 없다. 사춘기 청소년처럼 말을 안 듣는다. 짝이 필요하다. 대칭을 만들어 둘을 경쟁시키면 말을 듣기 시작한다. 그러나 역시 불완전하다. 둘이 싸운다. 혹은 헤어진다. 둘을 수직적 일의 구조에 태우고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해야 한다. 외부에서 들어가는 에너지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계는 완벽하게 제어된다. 수평적 대칭구조를 수직적 대칭구조로 바꾼 것이 모래시계다. 중력이라는 에너지가 투입되어 일하고 있다. 일의 결을 따라 계속 진행한다. 말을 듣게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5.12.14 (22:01:29)

비유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군대에서 아무리 말안듣는 후임이라도 자신의 후임이 들어오면 고참 말을 잘 듣더군요. 사회도 마찬가지겠지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12.15 (17:51:46)

일의 흐름이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막내일 때는 자기 밑으로 일이 이어지지 않고 자기 선에서 끝나지요.

무슨 일이든 끝단에 위치해 있으면 축제 다음 날의 청소부처럼 졸라 짜증남.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65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600
3632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12-02 5949
3631 진짜 역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12-02 5320
3630 사랑의 정석 5회 1 김동렬 2015-12-02 4774
3629 구조론적인 사유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12-03 5101
3628 차별은 잘못일까? image 김동렬 2015-12-03 4842
3627 조절장치가 있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5-12-03 5387
3626 밀당을 잘해야 집권한다 image 김동렬 2015-12-04 5633
3625 관점 관계 메커니즘 역설 완전성 image 김동렬 2015-12-07 5305
3624 사랑의 정석 6회 1 김동렬 2015-12-07 4715
3623 사랑의 정석 7회 1 김동렬 2015-12-08 4940
3622 구조냐 창조냐 그것이 문제로다. image 김동렬 2015-12-08 4705
3621 대칭과 토대 image 김동렬 2015-12-08 4642
3620 양자화 단계 image 김동렬 2015-12-08 4966
3619 가장자리가 중심이다 image 1 김동렬 2015-12-09 5307
3618 사랑의 정석 8회 image 1 김동렬 2015-12-09 4924
3617 좌표와 순서도 image 김동렬 2015-12-10 7586
3616 사랑의 정석 9회 image 4 김동렬 2015-12-10 4928
3615 사랑의 정석 10회 image 1 김동렬 2015-12-11 4658
3614 사유의 여러가지 모형들 image 김동렬 2015-12-12 4951
» 구조론의 제 1의 image 2 김동렬 2015-12-14 5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