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3155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일본이 열등해진 것이 맞습니다.
체제의 본질은 열등한 자가 우월한 자를 모방하는 구조.
한국은 대통령을 모방하는데 일본은 가장, 족장, 사장, 선배를 모방하므로 한계.
중국은 시진핑을 모방하고 북한은 김정은을 모방해서 한계.
즉 일본식 복잡한 사회구조가 전 국민의 상향평준화를 이끌어 1억 총 중산층 수준에 이르렀는데
거기서 더 치고 올라가지 못하고 멈추는 것은 모방구조를 포기하지 못하기 때문.
모방으로 많은 이득을 얻었기 때문에 모방구조를 포기하면 붕괴하는 것.
민주주의 장점은 좋은 모방대상을 발굴하는 것.
일본이 한국을 인정하지 않느다고 화를 낼 이유는 없는게
일본에게 한국은 대륙의 일부이고 한국을 인정하면 중국을 인정해야 하기 때문에.
애초에 대륙과는 선을 긋는게 낫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그게 섬나라의 사정이라면 받아들일밖에.
한국과 일본은 불가근불가원으로 갈 수밖에 없는 운명입니다.
중국인은 보다 우월한 의사결정구조를 가진 청나라를 받아들였지만
일본은 미국에 폭탄 맞고 무릎을 꿇은 일 외에는 외세에 정복당해본 적이 없지요.
좋은 모방대상을 생산하는 나라가 이깁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역사에 필연이 존재한다'는 현장을 우리는 지금 목도하고 있는 중~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일단 고3부터 등교하여
밀도를 1/3로 넓게 잡으면 됩니다.
가령 30명 교실을 10명으로 앉게 하고
수업진행은 과목교사가 모니터로 진행하되
모든 선생님이 각 교실을 관리하면 되지요.
등교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는 내신의 공정한 평가 때문입니다.
필수적이지요.
밀도를 1/3로 넓게 잡으면 됩니다.
가령 30명 교실을 10명으로 앉게 하고
수업진행은 과목교사가 모니터로 진행하되
모든 선생님이 각 교실을 관리하면 되지요.
등교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는 내신의 공정한 평가 때문입니다.
필수적이지요.
대구는 철저히 망가져야~
이번 선거판도 '빨갱이'소리로 뒤덮는 식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