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2846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경제가 문학이 아니라면, 모든 것은 숫자라는 기록위에 말을해야 한다.
e-나라지표, 전자공시, 통계청, 공기업재무제표(어디서 확인하는지 모름)
이런 지표들을 무려 공짜로 인터넷만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볼 수 있도록 괜히 만들어 놓았나?
사실확인이되지 않는 사람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는 구전이 아니라
숫자로 기록되어지는 data로 얘기를 해야한다.
말로만 만성적자 만성적자 말하지 말고
주식회사의 회사사정을 공짜로 볼 수 있는 전자공시처럼
공기업도 회사사정을 볼 수 있도록 재무제표 공개하라.
진실은 오가는 말이 아니라
오가는 말이 거칠수록 진실이 단단해 지는 것이 아니라
재무제표나 통계숫자 속에 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0474point (77%),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이런 거짓말이 먹혀드는 시스템을 부셔야 함.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2561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엉터리가 많소.
남부지방 고려시대 원터에서 온돌 발견된 지가 언젠데
고건축은 사찰건축에 반영되어 있고
신라시대 집 모양토기나 집터가 다 그대로 있고
신라 때는 다 기와집이었소.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941/005/5941.jpg)
![포인트:38337point (63%),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제 생각도...
삼국시대나 고려시대는 거의 무역으로 먹고 살았다고 해도 될 정도이고.. 과거로 갈수록 화려해지는게 이상하다라는 비판은 신빙성이 약한듯 하고... 한옥에 대한 이해도도 좀 약한듯하고...
단지 현재 한옥형태보다는 고려나 삼국시대 가옥 형태를 손좀보면 더 활동성과 살기에 적합하지 않는가...하는 생각을 해봤네요.
삼국시대나 고려시대는 거의 무역으로 먹고 살았다고 해도 될 정도이고.. 과거로 갈수록 화려해지는게 이상하다라는 비판은 신빙성이 약한듯 하고... 한옥에 대한 이해도도 좀 약한듯하고...
단지 현재 한옥형태보다는 고려나 삼국시대 가옥 형태를 손좀보면 더 활동성과 살기에 적합하지 않는가...하는 생각을 해봤네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334/298/298334.jpg)
![포인트:5350point (69%), 레벨:7/30 [레벨: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7.gif)
제가 얼마전 봤던 인터넷 게시물 입니다.
여기 보면 서라벌 대부분이 기와집입니다.
백제 건축술이 일본 나라와 교토의 사찰에 반영되었다고 본다면
고대 한반도 건축술의 수순을 낮게 만 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고보니 안철수도 봤다는 이야기 아직 없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