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부흥회에서 변리사분이 한분이 계셨습니다. (아이디가 기억이 나지 않네요..)
모인 분들 모두 발표 기회를 갖게 되었고 변리사님도 발표를 하게 되었습니다.
한 가지 질문을 하셧는데 이 곳에 생각을 정리해 올려 보려고 합니다.
먼저 질문입니다.
한 발명자가 의자를 만들었습니다. 이 의자는 통풍을 위해 (엉덩이)받침대가 망사로 되어있고,
의자 다리 끝 부분은 바닥을 파고 들지 않게 신발형태를 갖도록 하였습니다.
변리사는 이 발명의 특허 문건을 작성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의 청구항 이라는 부분이라고 합니다.
청구1항 받침대 틀 + 망사 + 다리
청구2항 1항 + 신발형태의 다리
청구3항 ....
여기서 질문입니다. 이 부분은 제 기억이라 왜곡되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 청구1항이 최선의 선택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이 보다 낳은 것(보다 넒은 범위를 갖는)이 있을 수 있지 않을까요?
청구 1항을 질로 본다면 어떻게 최선의 질을 찾을 수 있죠?
제가 생각한 위 질문의 의도입니다.
구조론은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변리사의 일은 특허에 대한 청구항을 권리 범위를 최대한 갖도록 작성하는 데 있다.
그렇다면 청구항 작성시 이를 구조론 적으로 접근한다면 명쾌하게 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예컨대 구조론을 이용한 글쓰기 처럼요.
토의 중에 이에 맞는 결론은 제대로 내리지 못한 걸로 저는 인지 했습니다.
이제 부터는 제가 생각한 부분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발명자 : 불편 -> (내부 처리) = 의자 발명
↓
변리사 : 특허작성 -> (내부 처리) = 청구항1, 청구항2, 청구항3
내가 생각하는 구조론은 원입니다. 시작 - 끝, 끝이 시작 - 끝, ....
여기서 청구항들은 같은 포지션(양)에 존재합니다. 청구항들 사이에 어떠한 에너지 흐름이 없습니다.
따라서 청구1항, 청구항 들을 질로 볼 수 없습니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계로 볼수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청구1항이 최선의 권리 범위 일까요?
청구항 작성시 말씀하신 그 과정(내부처리)이 정답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과정들이 경험이고, 나쁜길로 간 것이 될 수도 있고, 하지 않을까요?
만약 구조론을 통해서 최선의 청구항을 알 수 있다면
그말은 구조론을 알면 사회 현상에 대해서 최선의 결론을 얻을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이 말은 오류라고 생각합니다.
구조론을 알면 방향을 안다는 것이 아닐까요?
변리사님은 지금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족한 부분 지적 부탁드립니다.

![포인트:5604point (88%), 레벨:7/30 [레벨: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7.gif)
당시의 문제는 질문이 잘못된데서부터 시작 되었는데,
질문이 잘못되었다고 말해준 사람은 있었으나
질문을 이렇게 바꿔서 하면 제대로 된 답변을 해주겠다고 한 사람은 없었던거죠.
변리사분의 질문을 수정하자면,
'현재의 포지션이 하위 레벨이란 것을 어떻게 알고 탑레벨로 올라갈 수 있는가' 또는
'현재의 포지션이 최상위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내가 틀렸다는걸 알 수 있는가'
정도가 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