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61/006/6061.jpg)
![포인트:44446point (21%), 레벨:22/30 [레벨:2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2.gif)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2963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외교와 국제관계가 상식과 이성에 바탕을 두고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국가의 힘에 의지하기 때문에
일본이나 중국의 경제보복은 언제든지 있을 수 있고
외교관계에서 으르렁 대던 중국과 일본이 트럼프때문에 손 잡는 일이 일어나는 곳이
외교 및 국제 관계입니다.
제일 상식적이지 않는 관계가 외교와 국제관계입니다.
=================================================================
불소는 일본에서만 생산되는 지
아니면 불소에 일본만의 기술으로 상업처리를 해야 판매가 되는지
한국기술로는 안 되는 지 궁금하네요.
일본이 계속 저런 식으로 나오면 기술의 국산화로
불소의 대채상품 개발 등도 고려 해 봐야 합니다.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미래를 위해서라도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919/972/972919.jpg)
![포인트:47817point (4%), 레벨:23/30 [레벨:2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3.gif)
공룡은 꼬리가 길기만 한게 아니라 굵기도 하죠. 캥거루마냥.
티라노사우루스와 캥거루의 진화경로는 다르겠으나, 기능은 비슷해졌다고 볼 수 있겠네요.
왠지 티라노사우루스가 뛰는 모습은 캥거루와 비슷했을 것 같은 느낌.
다만 뒷다리를 중심으로 앞뒤의 밸런스를 맞추는 기관이 좀 다르다고 할 수 있는데,
공룡은 머리의 비율이 크고, 대신 앞다리가 짧고,
캥거루는 머리의 비율이 작고 대신 앞다리가 좀 더 발달하여
각자 앞뒤의 무게 밸런스가 맞추었네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787/005/5787.jpg)
![포인트:52771point (21%), 레벨:24/30 [레벨:2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4.gif)
괴물은 물론 이런 괴물을 비호하거나 방치한 모든 공직자들 역시 한 놈도 빠짐 없이 쳐죽여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927/005/5927.png)
![포인트:3436point (16%), 레벨:6/30 [레벨: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6.gif)
아이를 많이 낳기를 원하는 세대에게 지원을 대폭 해줘야 한다는 말씀이 생각나는군요.군대가 체질이다는 사람도 많을텐데 그런 사람만 모집해서 병력을 20만+@ (여자지원자 포함)로 직업군인화 하면 좋겠어요.전시에는 예비군 동원하는걸루.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61/006/6061.jpg)
![포인트:44446point (21%), 레벨:22/30 [레벨:2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2.gif)
병사의 기본은 적어도 3년이상,
5년은 돼야 사람구실 하지요. 이는 교사도 마찬가지구요.
더군다나 예전에는 동네 놀이문화나 집단문화로 군생활 금방 적응하는데,
최근에는 인간관계가 너무 좁고 스마트폰이 일반화되면서
사람사이에서 어울리지도 못하는게 젊은이들의 현실입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농촌에 거주하면서 직접 농사짓는 청년들부터 시행하면 됩니다. 국토유지관리에 대한 비용으로 생각하면 적은 돈이죠.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415/014/14415.jpg)
![포인트:17257point (84%), 레벨:13/30 [레벨:1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3.gif)
경기도가 한국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해줄 수 있을런지...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파리의 건축물들이 세계의 관광객을 끌어모으는 것은, 나폴레옹때 약탈한 금은보화로 지원을 해줬기 때문이지요. 파리시내에 짓는 건축물은 정부가 비용을 90%이상 보조해주었습니다. 그렇게 돈을 들이니까 지금도 비까번쩍하지요.
우리의 아름다운 국토도 관리를 하는데 돈좀 들여야 합니다. 적은 돈으로 효과보는 게 농민기본소득.
사람이 살아야 관리가 되지요.
일본은 나쁜 짓은 잘 따라서 하는군요. 미국형님이 중국 반도체 죽이기 했으니, 따라쟁이로 친미짓을 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