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49/302/302249.jpg)
![포인트:11965point (51%),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조금만 더 살을 붙여주셨으면 하는 욕심이 듭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3155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현대의 건축사상은
자연에는 자연에 맞는 건축을 해야한다는 겁니다.
결혼식 때 들러리는 신부보다 예쁘게 꾸미고 가면 안 됩니다.
자연이 주인공이고 인간은 들러리인데 자연을 압도하면 안 됩니다.
저런 인공폭포는 최악인데
전국의 도로변 인공폭포 다 때려부숴야 합니다.
거대하게 축대를 쌓아 자동차 도로를 만드는 것도 최악입니다.
산에는 산을 닮은 집을 지어야 하고
평야에 우뚝한 집을 지으면 안 됩니다.
꼴불견이라는 거지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49/302/302249.jpg)
![포인트:11965point (51%),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787/005/5787.jpg)
![포인트:52771point (21%), 레벨:24/30 [레벨:2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4.gif)
전유성은 물론 프로그램 참가자, 그리고 스텝들 어느 누구도 문제를 인지 못하는 것이 놀라운 일입니다.
어쩌자고 천연자원을 마치 개인 자산인냥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3155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2974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공중파 mbc도 기사제목을 이상하게 뽑고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787/005/5787.jpg)
![포인트:52771point (21%), 레벨:24/30 [레벨:2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4.gif)
실무진의 단순실수? 말에 미운 털이 박혔네요.
"실무진의 실수"와 실무진의 단순 실수의 차이는 언론과 기레기의 차이, 그 이상!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2년전 탈원전선언에 잠잠했던 조선일보가 요즘 연일 탈원전반대를 떠드는 건,
미세먼지때문에 석탄발전이 위축되고 고압선에너지패권이 위협받으니 탈원전을 시비하고 나선 것.
조선일보 움직임을 반대로 보면 해답이 보입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http://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68175#05Dr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415/014/14415.jpg)
![포인트:17257point (84%), 레벨:13/30 [레벨:1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3.gif)
에너지에 대한 패러다임이 달라지는 일대 사건이니 60년이 아니라 600년이 걸려도 시도할 가치가 있지 않을까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핵융합 플라즈마 전기생산 연구는 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소가 가장 앞서가고 있지요. 토카막쪽은 우리가 약간 우세하지만.
그 기술이 실용화될 시기가 언제 올지 모르지만 선택지의 하나로는 가능하겠지요.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까지는 안될 겁니다.
그때쯤이면 분산형자립에너지도 경제성이 좋아질 것이니까요.
플라즈마 에너지는 아마도 우주여행이나 특수상황에서 빛을 보겠지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플라즈마발전은 현재의 원전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그러므로 탈원전을 반대하는 근거가 될 수 없지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415/014/14415.jpg)
![포인트:17257point (84%), 레벨:13/30 [레벨:1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3.gif)
네..그런데 "고압선에너지", "적금에너지"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용어인지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아뇨. 독일에서는 중앙공급식 에너지체제와 분산자립형 에너지체제라는 식으로 구분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제가 알기 쉽게 풀어서 이름 붙인 것입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http://m.cafe.daum.net/suwonprofessor/TzBG/170?svc=cafeapp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4263point (87%), 레벨:6/30 [레벨: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6.gif)
에너지 생산 시설들을 딱 둘로 나눠서 비교해보기 보단
공존과 역할 분담을 생각해보는것이 어떨까 생각이 다네요 ㅎㅎ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지금은 과도하게 한쪽으로 쏠려있지요.
한쪽은 걸음마 단계입니다.
독일의 성공은 걸음마에서 사춘기로 무난히 키운 것.
감성팔이는 능력없는 자의 마지막 수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