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반기문 같은 인간이 유엔사무총장 되는 것도 이상하고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27/918/918127.jpg)
![포인트:5145point (54%), 레벨:7/30 [레벨: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7.gif)
세계와 대칭을 시키지 못하니 변두리와 대칭을 시키자.
어차피 질 대칭으로 닫아걸 순 없는데 운동 대칭이나 주워다 써서 스스로 가둘 수 있는 게 어디냐 캬캬캬.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2974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전연령대의 설문조사를 하는 것이아니라
호남 만 설문조사하고
3.40대만 설문조사하여
고립작전으로 가고 있습니다.
나는 범죄자나 적폐들이 스스로
잘못을 뉘우치고 스스로
자정작용을 하는 것을 본적이 없습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433/107/107433.jpg)
![포인트:5589point (87%), 레벨:7/30 [레벨: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7.gif)
교수 생활 30년 동안 저러고 살았는데 만에 이제야 문제가 되는 것이군요.
세상이 변하는 속도가 빠르지 않네요.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2974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60일 지정생존자가 안철수를 불러낸다.
60일 지정생존자의 대통령의 겉 모습은 문대통령이지만
실제로는 문대통령을 비난하는 드라마였다.
거기에서 테러로 대통령이 사망하게 되는 데
거기에 청와대의 내부 협력자가 대통령비서실장이였을 때 참으로 암담했었다.
또 이공대대학교수가 빠른 두뇌회전으로 정책과 공감능력으로
정무처리를 하고
대통령선거를 준비하는 데 정당없이 무소속으로 뛴다고 하는 것은
안철수를 염두에 두고 쓴 드라마였다.
거기에다가 역대 대통령 사진을 보여주면서
전두환과 노태우는 보여주어도 김대중대통령 사진은 없었고
작가가 은근히 노무현대통령을 모티브로 하면서
민주정부를 돌려서 비난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2974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https://news.v.daum.net/v/20190920173622547
9월초에 나경원과 자유한국당이 정경심의 구속수사를 외쳤었다.
거기에 검찰도 그런 그림을 그리고 있다.
검찰은 절대 자유한국당의 패스트랙을 수사하지 않을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415/014/14415.jpg)
![포인트:17257point (84%), 레벨:13/30 [레벨:1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3.gif)
주목할만한 뉴스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현강님은 금융시스템이 경제시스템의 일부라고 보시는지요? 아니면 경제시스템이 금융시스템의 부분이라고 보시는지요? 전자가 상식이라고 생각했었는데, 금융부분으로의 집중화와 고도화로 인해서 후자로 느껴지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27/918/918127.jpg)
![포인트:5145point (54%), 레벨:7/30 [레벨: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7.gif)
정치에 빗대자면 구지 정치제도가 눈에 똭 보이지 않더라도 권력구조는 분명히 있을 수 밖에 없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자본의 성립과 흐름은 현금흐름이 딱 세어지지 않더라도 분명 있습니다.
자본도 결국 권력의 한 형태이니까요. 자본의 집합이 있고 그것들의 관계가 경제현상을 연출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애초에 자본은 자체논리대로 흘러가는 결로서 존재하며 이러한 것에 주목한 관점이 금융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제라하면 벌써 대상화된 놈을 우리가 해석해서 받아들여야 할 것 같지만 금융이라고 하면 아무래도 우리가 자본의 마디마디를 통제한데는 느낌이 든단 말이지요. 밖에서 급하게 쓰기도 해서 다소 비약이 있을 수 있으나 대략 이렇게 보면 어떨까 하는 주장입니다.
대통령경선에서 떨어진게 생각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