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44417point (21%), 레벨:22/30 [레벨:2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2.gif)

두뇌 고삐가 풀렸다 하더니, 인간 자체가 복사기 구랴. 몸 짓을 궁극의 경지까지 올리고 있소. 놀면서 말이오. 몸이 춤으로 추고 나가면, 두뇌도 논리로 달려 줘야 맞소.

![포인트:1540point (12%), 레벨:4/30 [레벨: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4.gif)
저 양모님, 죄송한데 전 아직도 만유인력이 아니라 만유척력이라는 것이
잘 이해가 안가거든요? 좀 간략하게 두세줄로 혹시 설명이 가능할까요? ^^;

![포인트:37255point (3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우주가 하나의 수조 안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요? 물속에 잠수한 상태라면, 안쪽으로 밀어내는 힘을 느낄 수 있습니다. 지구 중력은 우주 척력의 결과물일 뿐입니다. 관련하여 김동렬 님께서 쓴 구조강론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http://changtle.com/1299

![포인트:1540point (12%), 레벨:4/30 [레벨: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4.gif)
감사합니다.

![포인트:14962point (88%),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너무 과장되어 있는 그림이오. 색깔을 입히고 찌그러 뜨리고 의도적인 그림.

![포인트:1540point (12%), 레벨:4/30 [레벨: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4.gif)
그렇죠. 지오이드가 진짜로 저렇게 찌그러져 있진 않겠죠. 실제로는 지표면하고 얼마 차이 안날 듯.

![포인트:44417point (21%), 레벨:22/30 [레벨:2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2.gif)

과학이 척력을 인지하는 때, 인류는 전혀 다른 우주를 만날 것.

![포인트:38337point (63%),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한 번 정해진 관계설정에서...벗어나서 방향전환이 되어야 하는데...마음에 짓눌린 무게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지렁이도 밟으면 꿈툴한다는데.... 죽은 그 친구도 한번쯤 이 친구가 꿈툴했다면 정신차리고 괴롭히지 못했을 수도 있는데(이런 류의 사람에게는 당당하게 맞서는게 상책이라고 생각이 드는데...)... 한번의 꿈툴이 시작이자 마지막이 되어 버렸네요.
그 자신에게는 용트림처럼 시원하게 벗어나는 것일 수도 있지만, 그 자신의 인생은 이레저레 꼬여버렸네요.

![포인트:37255point (3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이건 전에 내가 썼던 소설 내용이랑 비슷하네.
난 벽돌로 대갈통을 짖이겨 죽였는데...

![포인트:18892point (47%), 레벨:14/30 [레벨:1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4.gif)
내가 읽은 소설에서는 칼들고 죽이러 갔는데, 글쎄 다른 제3자 넘이 다른일로 그넘을 죽여서 기회조차 꽝되더라.

![포인트:37255point (3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이건 영화 <박수칠 때 떠나라> 와 비슷한 상황.

![포인트:14962point (88%),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하여간 실패. 실패를 탐닉할 필요도 없는듯. 실패에서 교훈얻는다는 말도 거짓말. 반성따위로 갈수 있는곳은 없소. 트라우마가 힘이 되는 상황을 던져버리는게 용서.

![포인트:21046point (28%),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아직도 이러고 있었군요.
카페에서는 구석자리 좋아해도
길이나 문은 큰데로만 다니고 싶어서 일부러 그러기도 했는데...
엄마따라 절에가면 큰계단이나 문은 사용하는게 아니라고해도 일부러 그거 사용하고
남자들 큰 상 받으면 난 일부러 거기가서 밥먹고 그랬더랬소. 그런 강요를 생각하면 지금도 화가 나오.
아무리 고대광실이라해도 잔밥이나 떡고물 주워먹고 사는 인생은 정말 싫어.
아이들한테 그런거 가르치지 말아야 하는데...

![포인트:52771point (21%), 레벨:24/30 [레벨:2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4.gif)
아직도 이런 마초들이 교장으로 선생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비극이오.
이건 학교가 아니라 교도소구먼.
학부모들은 뭐하나 몰라!
이런 폭력을 좌시하고 있으니...

![포인트:3955point (61%), 레벨:6/30 [레벨: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6.gif)
초등학교때 중앙현관은 항상 꺼림칙한 곳이었어요. 가끔씩 싸대기도때림. 욕지거리를 함. 교감이라는 작자가.. 교장은 방관함. 아직도 이러고있을까~

![포인트:21407point (41%),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학교 없애자 그냥.

![포인트:3399point (13%), 레벨:6/30 [레벨: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6.gif)
초딩, 중딩, 고딩,,, 12년 세월 내내.
아침마다 좌우 현관 문앞에 수십명씩 몰려서 좁은 발판 위에서 까치발로
실내화로 갈아신으려고 전쟁 치르던 기억이 다시 떠올라
열받네요.
헌데, 이 기사에 언급된 학교의 학부모들이 단 댓글도 한번 신중히 읽어볼만 하다 생각됩니다.

![포인트:44417point (21%), 레벨:22/30 [레벨:2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2.gif)

지구가 좁다. 나라가 좁다. 학교가 좁다. 통로가 적다. 몇 놈만 넓게 쓴다.
.누군가 맞는 이유.

![포인트:119905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학교에 많은 애들 가둬놓는 거 자체가 문제요. 그렇게 바글바글 가둬놓으면 통제 안할 수가 없소. 통제 안하고 자유주의 사상을 넣어주려면 시스템까지 전면적으로 손봐야 할 게요.

![포인트:37255point (3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학교의 문제가 아니오.
내가 기억하기로는 국회의사당도 의원이 아닌 직원은 정문 계단을 사용할 수 없게 했던 것을 최근 몇년 사이에 겨우 바뀐 걸로 알고 있소. 실제로 국회 직원들이 중앙계단을 이용할 지 모르지만...
그 나물에 그 밥 아니겠소?

![포인트:52771point (21%), 레벨:24/30 [레벨:2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4.gif)
질문이란 뭔가 궁금할 때 하는 것.
워낙 말도 안되는 쥣거리를 하는 바람에 온국민 모두 유구무언.
갸들 방빼는 날짜 좀 일찍 떙길 의사는 없는지나 알아봐주슈.
숨통이 터져서 몬살것다 카고.
글로벌 호구 쥐박 글로벌 민폐 일본.
타인에게 민폐 끼치는 걸 극도로 조심하는 일본의 아이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