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748 vote 0 2016.05.02 (14:49:56)

       a.jpg


    바둑에 비유하자. 중앙은 수도권이고 변방은 호남과 영남이다. 중앙은 율곡이고 변방은 퇴계다. 중앙은 일원론이고 변방은 이원론이다. 중앙은 홀수고 변방은 짝수다. 변방은 2로 2를 이루나 중앙은 1로 2를 갈음한다. 당연히 중앙이 이득이다.


   a1.jpg


    바둑을 전혀 모르는 초보자의 직관에 맡기면 첫 수는 당연히 중앙이다. 딱 봐도 중앙이잖은가? 초심자의 직관이 옳다. 알파고는 언제라도 중앙을 선택했다. 그러나 조금 더 생각해야 한다. 중앙이 그 중앙이 아니다. 고정된 정적 중앙이 아니라 변화하는 동적 중앙이다. 움직이는 중앙을 찾아야 한다.


   a2.jpg


    바둑의 중앙은 흑과 백이 어우러지고 난 다음에 결정되는 것이다. 천원은 중앙이 아니다. 당연히 변방에서 시작한다. 중앙은 두 변을 연결하는 지점이며 그러므로 변의 두 지점이 놓여지고 난 다음에 중앙이 정해진다. 

  a3.jpg


    첫 수를 중앙에 두는 것은 돌의 낭비다. 중앙에 먼저 둔 이익이 없기 때문이다. 중앙은 사통팔달로 연결되는 네거리와 같다. 서울과 부산이 먼저 자리를 잡아야 대전이 가운데가 된다. 충주가 가운데인지 대전이 가운데인지는 경부선 철도를 놓아봐야 아는 것이다. 충주역 망하고 대전역 흥했다.


    a4.jpg


    흑이 이미 변방에 자리를 잡았는데 백이 비집고 들어오려면 바둑알이 하나 더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변방은 먼저 온 사람이 텃세를 부린다. 반면 서울은 텃세가 없다. 그러므로 지방은 먼저 가서 자리잡는 넘이 임자이고, 서울은 나중에 발전한 강남이 더 이득이다. 지금은 판교나 일산쪽을 알아보는게 낫다. 서울은 선점효과가 없다.

   a5.jpg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는 사람은 당연히 중앙을 노린다. 왜냐하면 중앙은 변방을 끊을 수 있지만, 변방은 중앙을 분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영남이나 호남이 서울을 둘로 쪼개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서울은 지방을 갈라칠 수 있다. 서울이 철도를 부산으로 먼저 놓느냐 목포로 먼저 놓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서울은 마음대로 지방을 엿먹일 수 있다. 문재인은 천정배와 안철수를 갈라칠 수 있다.


a6.jpg

    뒤늦게 이세돌이 중앙의 알파고를 쪼개려 해봤자 실패한다. 중앙은 분할되어도 뒤로 연결하면 그만이다. 배후에 넉넉한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변방이 중앙을 쪼개려면 돌이 더 많이 투입되어야 한다. 알파고가 한 점 놓을 때 이세돌이 두 점을 놓아야 중앙이 쪼개진다.


    a7.jpg


    중앙은 변을 쪼갤 수 있다. 중앙의 알파고가 변으로 쳐들어올 때 이세돌은 뒤로 연결하려 하지만 뒤가 없다. 호남이든 영남이든 뒤가 바다라서 연결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서울은 다르다. 


    호남에서 쳐들어오면 강원이나 충청이나 경상으로 도망가면 된다. 영남에서 쳐들어오면 역시 강원이나 충청이나 호남으로 도주하면 된다. 중앙은 항상 퇴로가 열려 있다. 


    결국 바둑은 중앙이 답이다.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은 현대의 발달한 바둑이 여전히 중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을 증명했다. 


    중앙이 답이지만 처음부터 중앙으로 가려고 하면 죽는다. 처음에는 변방으로 갔다가 적절한 시점에 중앙으로 쳐들어가야 한다. 중앙이 답이라는게 정설, 오히려 변방으로 가야한다는게 역설, 변방에 주저앉으면 죽는다는게 이중의 역설이다.


    동탁은 변방을 다지지 않고 바로 중앙으로 들어갔다가 고립되어 말라죽었다. 조조는 낙양에서 멀지 않은 연주에서 힘을 길러 청주와 예주 등 수도권을 먹고 바로 중앙으로 들어갔다. 그 다음 중앙을 수비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항우는 남쪽으로 갔다가 죽었고, 장개석 역시 남쪽에서 머뭇거리다가 망했다. 중국사는 언제나 북쪽을 먹는 자가 이겼다. 북쪽은 길이 연결되고 남쪽은 길이 끊겨있기 때문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6.05.03 (22:57:12)

길=에너지가 지나가는 곳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66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600
3515 노자 8, 무위는 필망이라 image 1 김동렬 2016-02-13 5154
3514 공자 15, 향당과는 말하지 않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2-14 5252
3513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8 김동렬 2016-02-14 5779
3512 사랑의 정석 53, 부름에 응답하라 image 1 김동렬 2016-02-15 4814
3511 노자 9, 중국의 몰락법칙 image 3 김동렬 2016-02-15 5578
3510 노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1 김동렬 2016-02-15 5176
3509 사랑의 정석 54, 죄는 영원하다 image 1 김동렬 2016-02-16 5034
3508 공자 16, 임금의 마음을 가져야 군자 image 3 김동렬 2016-02-16 5491
3507 사랑의 정석 55, 나는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2-17 5158
3506 노자 10, 무위하면 죽는다 image 김동렬 2016-02-17 5024
3505 숨은 전제가 위험하다 image 1 김동렬 2016-02-17 5107
3504 사랑의 정석 56, 길 끝에서 만난다. image 1 김동렬 2016-02-18 4761
3503 노자와 중국인 image 4 김동렬 2016-02-18 5241
3502 괴력난신을 극복하라 image 2 김동렬 2016-02-18 5953
3501 사랑의 정석 57, 이상주의자가 되라. image 1 김동렬 2016-02-19 5017
3500 공자 17, 내용보다 형식이 중요하다 image 1 김동렬 2016-02-19 5807
3499 노자 마지막, 바보 노자가 좋다. image 김동렬 2016-02-20 5464
3498 김용옥과 노자 image 김동렬 2016-02-21 6076
3497 공자18, 중용이냐 쓸모냐 image 1 김동렬 2016-02-22 5399
3496 사랑의 정석 58, 사람을 사랑하라 1 김동렬 2016-02-22 5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