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6016point (16%), 레벨:8/30 [레벨: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8.gif)
하상도 교수, 이 사람 좀 수상한 구석이 있습니다. 학생들과 간담회 장소를 굳이 맥도날드에서 하고 패스트 푸드 찬양를 하는 기사가 있습니다. 유기농이 마케팅의 결과라면 하상도 교수도 그 반대 편에서 마케팅을 한다는 느낌입니다.

![포인트:735745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그렇다치고
유기농이라는 단어 자체가 거짓말입니다.
이런 막연하고 애매한 단어를 허용하면 안 됩니다.
식품안전의 복잡성에 비하면 너무 난폭한 단어입니다.
비료를 쓰지 않는다면서 천연비료를 거름으로 쓰고
농약을 쓰지 않는다면서 천연농약을 쓰는 거죠.
그게 더 해로울 수도 있는데 말이지요.
뭐가 몸에 좋다거나 어디에 좋다 이런 말도 쓰면 안 됩니다.
A라는 성분이 B라는 대상에 C라는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구체적으로 말해야 합니다.

![포인트:52771point (21%), 레벨:24/30 [레벨:2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4.gif)
한우고기가 비싼 이유를 알 수가 없어요.
친노폐족 주장 뒤 의기소침해 있을 때, 이명박의 격려가 얼마나 고마웠겠습니까
안희정이나 이광재는 자신을 알아주는 새로운 주군에게 감동했을 겁니다
그런데 전혀 예측 못한 탄핵정국에 당황하고 있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