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조율
read 4159 vote 0 2011.05.29 (01:47:52)

작년 12월에 한 "도약된 관계맺기" wire개인전입니다.

와이어 작업은 20년전 부터 해 왔던 것인데,

구조론 공부를 하면서 진척 시켜본 전시입니다.

 

 

후레쉬가 등장하는 4분 영상부터 유심히 봐주세요.

 http://www.youtube.com/watch?v=N1h8qHm1z0w&feature=player_embedded

 

http://www.youtube.com/watch?v=SnQkrspU9_8&feature=player_embedded

 

 


[레벨:15]르페

2011.05.29 (07:36:48)

뭔가 만들어지면 곧바로 형태를 바꾸어 사라지는 와이어의 향연..

색이 배제된, 오직 선으로 만들어진 세상에서 존재는 더 선명해지는 것 같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조율

2011.05.30 (00:55:02)

제가 발견한 것은 광원(빛)과 실체(와이어)와의 관계에 의해 만들어 지는 그림자의 환영에 관한 것입니다.

광원(존재)의 위치와 거리에 따라 전시된 모든 것들이 한꺼번에 도약되듯 다른 세상이 되더군요. 

빛을 의식함으로 실체와 그림자의 환영을 단번에 이해 하게 된다는... 이거 구조죠?

 

 

[레벨:15]르페

2011.05.30 (04:45:18)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가 떠오르네요. 위로부터의 철학, 수학, 직관을 중요시하는 플라톤이

아래로부터의 철학과 경험과학을 중시한 아이스토텔레스보다 상부구조겠지요.

플라톤의 궁극적 실제(이데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개체적 실제를 통합한 것이 구조론이고,

그런 의미에서 철학과 과학의 통합이라는 오랜 숙원을 구조론이 풀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도그마에 빠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과학주의자들은 궁극적 실제를 부정하고,

오직 경험에 기반한 과학적 사유만을 인정하더군요. 

경험적 실제를 부정하고 궁극적 실제만 인정하는 종교주의자들보다 나은 것도 없습니다.

세계의 나머지 반쪽은 어쩌자는건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17]안단테

2011.05.29 (11:50:09)

꼬마야 꼬마야 땅을 짚어라

꼬마야 꼬마야 뒤를 돌아라

꼬마야 꼬마야 만세를 불러라

꼬마야 꼬마야 잘~가거라

 

조율님의 작품 영상을 보면서 내가 만난 놀이...  꼬마야, 꼬마야... 새끼 줄넘기...^^

즐겁게 잘 보았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조율

2011.05.30 (01:08:55)

감사합니다. 가끔식 올라오는 안단테님의  선명하게 따뜻한 작품

잘 보고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816
1818 선형분석에서 면적분석으로 (n차에서 n+1차로의 차원이동) 2 눈내리는 마을 2009-07-18 5672
1817 글을 쓸수도 책을 읽을수도 없습니다 1 눈내리는 마을 2009-05-30 5670
1816 비과학적 사고의 예 5 김동렬 2011-07-07 5668
1815 막걸리는 한 병이다. 3 아제 2010-02-16 5656
1814 세가지의 부류 4 LPET 2009-11-10 5653
1813 학교폭력예방법의 개정 방향 이상우 2023-05-30 5648
1812 용력을 과시하는 시골 용사가... 2 읍내리 2009-04-10 5646
1811 시험문제 2 - 아이유 뭐가 문제? 16 김동렬 2012-11-12 5644
1810 인간은 이기적인가? image 1 김동렬 2011-08-16 5640
1809 리플대박 관련공지 11 김동렬 2010-01-15 5636
1808 구조론 부적응 1 아티스 2007-11-18 5619
1807 GUJORON VS PARTICLE PHYSICS (based on external force) 3 눈내리는 마을 2009-01-23 5613
1806 문제 왜 인도인은 이기적인가? 26 김동렬 2013-01-08 5611
1805 진실이 밝혀지는 원리를 묻습니다. 9 양을 쫓는 모험 2010-04-18 5611
1804 입체적 사고의 문제 7 김동렬 2013-03-18 5608
1803 대니얼 카너먼의 돌 1 chow 2023-06-03 5598
1802 질문 - 동성애문제 17 김동렬 2013-06-25 5597
1801 구조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방법론 3 오세 2009-07-24 5596
1800 아우디가 뛰어난 이유 image 김동렬 2013-01-14 5595
1799 역시 보는 눈이 다르다- '자격증' 제도에 대한 칼 로저스의 언급을 중심으로 3 오세 2010-03-05 5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