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read 1407 vote 0 2020.08.12 (00:01:02)

중첩이라 하면 무언가 둘 이상이 겹쳐보이는 게 연상된다. 엄밀히 말하면 너무 잘 겹친 건 그냥 하나로 보인다. 인식론 말고 존재론적으로 다시 짚을 필요가 있다.

중첩이란 중첩이 풀릴 수 있는 상태이다. 동은 정으로 될 수 있는 상태이다. 할 수 있음은 할 수 없게 될 수 있는 상태이다. 중첩은 본격적으로 분류가 일어날 첫 조건이다.

분류가 일어날 때마다 분류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소모된다. 왜나하면 분류가 이미 일어나버렸으니까. 분류가 일어나버린 결과가 정보다.

컴퓨터로 치면 1에서 0으로의 변화이다. 1은 0이 될 수 있으나 0이 1이 되려면 외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어떠한 정보가 반도체에 침투한게 아니다.

반도체가 개입당한 거 자체가 정보이다. 더 크게 침투되는 게 더 정확하다. 무리수를 이진법으로 표현할 때 1비트보다 1바이트가 더 정확하다. 자릿수가 큰 정보는 자릿수를 버릴 수 있다.

하지만 그 반대는 외부의 도움없이는 불가능하다. 중첩이 1이고 중첩이 풀린 게 0이다. 그런데 11이 한 번 판정되어서 10이 된다면 분류는 추가로 이뤄질 수 있다.

10에서 01로 되고 이어서 01이 00이 되면 더 이상의 분류는 불가다. 위치에너지의 고갈 혹은 외부 동력의 공급이 중단 때문이다. 우리는 보통 1110이라는 정보를 얻었다고 여긴다.

사실은 우리와 환경이 겹쳐져있던 1111이라는 중첩상태가 해체되면서 1110로 복제된 것이다. 부분만 변화했는데도 전체의 의미가 바뀌니 효율적이다.

변화가 생겼다는 결과 자체에는 딱히 특별한 정보가 없다. 다만 결과는 이전 상태를 추론할 단서이다. 변화 이전은 이후보다 무조건 1단위 더 크고 더 정확한 정보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331
1759 몸속에는 항체의 유전자를 몇 개로도 나누어 부품화해서 가지고 있다. 4 오세 2012-02-02 4002
1758 기술결정론 vs 도구주의 1 오세 2012-02-12 7663
1757 구조론적 육아법 2 김동렬 2012-02-20 5363
1756 모티브교육으로 가야 한다. ahmoo 2012-02-26 4038
1755 김유신묘 관련 이야기 조금 더 김동렬 2012-03-04 5032
1754 척추동물의 탄생? 4 김동렬 2012-03-06 4345
1753 원시 언어는 존재한다. 1 오세 2012-03-11 4668
1752 최신 심리치료 ACT, 하지만 갈 길이 아직 멀다. 2 오세 2012-03-11 4800
1751 모듈진화의 증거 7 김동렬 2012-03-12 4590
1750 폭력에 대한 구조론적 접근: 폭력의 자궁은 바운더리의 침해. 1 오세 2012-03-22 4149
1749 혈액형별 유명 운동선수 비율 image 4 김동렬 2012-04-03 9616
1748 완벽보존’ 새끼 매머드 발견 image 1 김동렬 2012-04-05 11209
1747 상호작용설이 옳다는 결정적인 증거 image 1 김동렬 2012-04-11 4132
1746 벌인척 하는 벌레 image 4 김동렬 2012-04-16 6308
1745 과학의 25가지 난제들 2 김동렬 2012-04-19 5721
1744 한옥 짓는 순서 2 김동렬 2012-05-07 6531
1743 진화 - 과학의 붕괴 image 1 김동렬 2012-05-17 4535
1742 제민일보 칼럼 - 방향을 이야기하는 교육 3 ahmoo 2012-05-30 3228
1741 진화의 오류? image 10 김동렬 2012-06-06 15830
1740 하나부터 열까지 다 허튼소리. image 4 김동렬 2012-07-03 4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