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764387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포인트:8683point (81%), 레벨:9/30 [레벨:9]](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9.gif)
튀르키예 독립전쟁 당시 안보적 이점으로 어쩔수없이 앙카라가 수도가 된 것 같은데 안보적 이점이 내부적으로는 안좋게 작용하는 듯 하네요. 케말 파샤가 이스탄불에서는 인정받기 힘든 출신이란 이야기도 있고.

![포인트:764387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수도가 치우쳐 있으면 본능적으로 등을 돌립니다.
그건 동물적 무의식이기 때문에 대화가 안 됩니다. 호르몬의 작용입니다.
소백산맥만 넘어가면 삐딱해지는 것은 호르몬 때문입니다.
일단 발목을 잡고 무슨 수를 내본다는 거지요.
터키는 인종적으로 북쪽은 그리스계, 남쪽은 아랍계입니다.
말도 다르고 종교도 다르고 완전히 다른 세계입니다. 게다가 쿠르드까지.
그쪽 애들은 시민들이 뭉쳐서 뭔가 해보자는 것을 본능적으로 싫어합니다.
우리는 산골에 흩어져서 뭉칠 수 없는데 저쪽 애들은 도시에 살면서 똘똘 뭉친다던데.

![포인트:764387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생각중독이 아니라 생각 자체를 안하는 거.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과 그에 따른 루틴 행동을 생각이라고 착각하는 거.
틀린 판단 - 생각 과잉
구조 진실 - 감정 반응, 호르몬 반응, 환경에 대한 수동적 반응. 불안과 스트레스 우울증, 루틴 작동
거짓 .. 과거에 내가 실수했지. 난 참 병쉰이야. 나같은 건 죽어야 돼. 쓸데없는 생각
진실 .. 환경에 대한 수동적 상태, 컨디션 저하, 우울증 호르몬 발동.. 우울증 루틴 작동.
나쁜 생각이 드는 이유는 나쁜 생각을 하기 때문이 아니고
무의식이 지금 신체 컨디션을 나쁜 상태라고 읽었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체온상승, 햇볕 쬐기, 적당한 운동,
사람 만나기, 환경의 변화, 노동과 성과가 필요합니다.

![포인트:9945point (50%),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챗지피티 한테 물어보니 아래처럼 대답하네요
주일미군 해병대 일부가 일본 오키나와에서 괌으로 이동하는 건, 단순한 배치 변경이 아니라 전략적·정치적·운영적 목적이 섞여 있어. 아래에서 하나씩 설명할게.<br />
<br />
1. 전략적 분산 (Force Dispersal)<br />
<br />
기존에는 오키나와에 해병대 병력(특히 제3해병원정군)이 너무 밀집돼 있었음.<br />
<br />
괌으로 일부 병력을 분산시키면 중국, 북한 등의 위협에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음.<br />
<br />
괌은 미국 영토라서, 미국 본토와 유사한 수준의 작전 자유도가 있음 (정치적 제약 적음<br />
<br />
2. 오키나와 주민 반발 해소<br />
<br />
오키나와 주민들은 미군 기지의 소음, 범죄, 사고 등으로 수십 년째 불만을 가져왔음.<br />
<br />
병력 일부를 괌으로 이전하면서 일본 정부와 지역 주민의 반발을 완화하고 있음.<br />
<br />
3. 신속 대응을 위한 새 거점 구축<br />
<br />
괌에 있는 캠프 블레이즈(Camp Blaz)에 해병대가 배치되면, 인도-태평양 전역에서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음.<br />
<br />
향후 남중국해, 대만 해협, 동남아 분쟁 등에서 기동력 확보.<br />
4. 미국-일본 동맹의 협력 결과<br />
<br />
이전 비용의 대부분은 일본 정부가 부담함 (미국과 일본의 방위 분담 협정).<br />
<br />
일본은 미군 병력을 계속 유지하면서도 자국 내 부담을 줄이고, 미국은 전략적으로 유리한 재배치를 하는 윈윈 전략.<br />
요약하면:<br /><br />
<br /><br />
&gt; &quot;중국 견제 + 오키나와 지역 반발 완화 + 기동성 향상 + 미·일 협력 심화&quot;가 핵심 이득이야.
괌은 향후 미군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점점 더 중요해질 거야.
주일미군 해병대 일부가 일본 오키나와에서 괌으로 이동하는 건, 단순한 배치 변경이 아니라 전략적·정치적·운영적 목적이 섞여 있어. 아래에서 하나씩 설명할게.<br />
<br />
1. 전략적 분산 (Force Dispersal)<br />
<br />
기존에는 오키나와에 해병대 병력(특히 제3해병원정군)이 너무 밀집돼 있었음.<br />
<br />
괌으로 일부 병력을 분산시키면 중국, 북한 등의 위협에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음.<br />
<br />
괌은 미국 영토라서, 미국 본토와 유사한 수준의 작전 자유도가 있음 (정치적 제약 적음<br />
<br />
2. 오키나와 주민 반발 해소<br />
<br />
오키나와 주민들은 미군 기지의 소음, 범죄, 사고 등으로 수십 년째 불만을 가져왔음.<br />
<br />
병력 일부를 괌으로 이전하면서 일본 정부와 지역 주민의 반발을 완화하고 있음.<br />
<br />
3. 신속 대응을 위한 새 거점 구축<br />
<br />
괌에 있는 캠프 블레이즈(Camp Blaz)에 해병대가 배치되면, 인도-태평양 전역에서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음.<br />
<br />
향후 남중국해, 대만 해협, 동남아 분쟁 등에서 기동력 확보.<br />
4. 미국-일본 동맹의 협력 결과<br />
<br />
이전 비용의 대부분은 일본 정부가 부담함 (미국과 일본의 방위 분담 협정).<br />
<br />
일본은 미군 병력을 계속 유지하면서도 자국 내 부담을 줄이고, 미국은 전략적으로 유리한 재배치를 하는 윈윈 전략.<br />
요약하면:<br /><br />
<br /><br />
&gt; &quot;중국 견제 + 오키나와 지역 반발 완화 + 기동성 향상 + 미·일 협력 심화&quot;가 핵심 이득이야.
괌은 향후 미군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점점 더 중요해질 거야.
튀르키예가 안 되는 이유는 수도의 위치가 나쁘기 때문입니다.
한국이 특별히 민주주의가 되는 이유는 경제가 서울에 몰려 있기 때문입니다.
군대와 총칼과 검찰의 힘이 한국의 시장경제를 꺾지 못합니다.
튀르키예는 이스탄불에서 멀리 떨어진 앙카라에 있어서 국민이 시위해봤자 안먹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