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르페
read 4436 vote 0 2011.06.16 (08:18:24)

양적판단을 참고로해서 질적 판단을 한다는 것은 전혀 예측이 아니다.

질적판단을 미리 해두고 그 범위 안에서 양적인 전개를 예상하고 발생경위를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블랙스완은 <거의 확률이 없는 사건이 일어나서 기존 패러다임을 붕괴시키는 현상>의 뜻을 가졌는데,

한마디로 확률이라는 공간예측과 진보라는 시간예측이 안되는 바보들이 만든 바보이론이다.

 

- 과거의 경험으로 볼때 전혀 일어나지 말아야하는 사건 : 진보, 진화하므로 그런 사건은 없음

 

- 개인이나 기업이나 시장이나 국가에 총체적이고 충격적인 변화를 초래 :

이 충격까지 예측범위에 있어야 한다. 심지어 붕괴현상에도 놀라지 말아야 한다.

개인의 충격일 뿐, 집단에는 이로운 것이 대부분이다.

가령 산림화재는 개별 식물들에겐 재앙이지만 숲 생태계차원에서는 축복인 것 처럼.

 

- 블랙스완 이후에는 마치 그 사건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었다고 받아들인다 :

왜냐면 당연히 일어날 것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1. 복잡계 : 뇌, 생태계, 사회, 시장 등에서 상호소통에 의한 집단지성이 작용한다.

 

2. 창발성 : 창발성이 하위계층에 없으며 상위계층에 불시에 솟아난다고 보는 이유는

구성요소간의 집단지성에 의한 집단소통의 메커니즘을 규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소통은 역할분담에 의해 순식간에 포지셔닝에 도달하므로 그 과정을 알기가 어렵다.

 

3. 교육목표 삼기엔 부적절(동아의 결론) : 역시 동아일보스러운, 잘가다가 삑사리내는 전형적인 글쓰기행태.

파편화된 교육을 받은 사람이 복잡계의 세상을 살수 있다고 보는가?

교육이야말로 환원주의를 버리고 전인주의를 채택해야할 제 1순위다.

 

물리학(거시)에서 생물학(미시)으로 학계 헤게모니가 옮겨가고 있다.

따라서 자본과 인적자원도 모두 생물학으로 이동하고 있다.

왜냐하면 물리학(거시)의 범위가 이미 지구의 대부분을 정복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주에 대한 영향력은 0.00000..1%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 즉 힘의 교착상황에 빠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킬러앱, 블랙스완은 생물학에서 쏟아져나올 것이다.

 

기업과 정부는 점점 커지고 효율적이고 투명해지고 통제가능해지고 있다.

왜냐하면 효율적이고 투명하지 않으면 일정수준 이상으로 커질 수 없기 때문이다.

자국에서 어리광을 부리긴 하지만 현대자동차나 삼성전자는 이미 외국에서 충분히 효율적이고 투명하다.

현대와 삼성이 글로벌에서 한계치까지 성장한 후 벽에 부딪히면 반드시 내부의 효율을 추구하지 않을수없다.

내부의 밸런스가 불완전하면 일정수준 이상으로 성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땐 정몽구 이건희도 위태롭다.


[레벨:3]스타더스트

2011.06.18 (12:47:21)

그런가요? 구조론과 일맥상통하는 부분도 있고 상충되는 부분도 있는 것으로 기억되는데..제가 블랙스완이라는 책  깊이 이해못해선지 구조론에 깊은 이해가 제게 없어선지 ...다시 잘 읽어봐야겠군요.

[레벨:15]르페

2011.06.18 (20:02:00)

블랙스완.. 책은 못읽었고, 신문기사를 읽다가 생각나서 써본겁니다.

책을 읽으셨다니 구조론과 비교해서 해석을 해보면 재미있지않을까요?

[레벨:3]스타더스트

2011.06.19 (22:34:20)

블랙스완은 이론이 아닌 걸로 알고 있어요. 현대의 이론들에 대한 비판서. 극단값을 가지는 영역에 대한 고찰. 평범의 왕국이 아닌 극단의 왕국에 대한 관찰.저자의 얘기를 보면 세네카에서 현대의 칼 포퍼의 줄기 정도라고 보면 될까 철학적 바탕...세네카 잘 모르지만 저는. 경험주의 아닌 연역주의이고 그래서 과학보단 수학적 접근을 취하는 거 같고.. 언젠가 이론을 만들어내는 작업을 하고는 있는 거 같은데..좀 그렇죠. 원래 이론이 아닌데..이론이 아닌 이론.

책장에서 거내 다시 읽기가 버겁긴 한데 다시 읽어보렵니다.  버겁지만 재미있습니다. 틈틈이 기회가 생기면 그때그때 얘기할 수 있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132516
400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8167
399 한국의 최우선 국가목표는? image 3 김동렬 2011-09-21 5422
398 아줌마 전쟁 3 김동렬 2011-09-20 5141
397 저장강박증? image 1 김동렬 2011-09-02 8393
396 키 큰 남자가 좋다? image 3 김동렬 2011-08-23 12547
395 인간은 이기적인가? image 1 김동렬 2011-08-16 6266
394 미국의 붕괴? image 6 김동렬 2011-08-16 5028
393 미인은 이기주의자? 김동렬 2011-08-14 5367
392 시조새는 새가 아니다? image 3 김동렬 2011-07-28 6174
391 내가 나가수를 보는 법 (2) image 1 Beholder 2011-07-09 4697
390 비과학적 사고의 예 5 김동렬 2011-07-07 6276
389 내가 나가수를 보는 법 image 3 Beholder 2011-07-05 4108
388 선풍기 괴담의 비과학성 1 김동렬 2011-07-04 6535
387 인간의 진화는 유전자를 잃어버리는 과정? 9 김동렬 2011-07-04 5218
386 운명인가? image 4 Beholder 2011-07-01 3882
385 wson님의 견해에 대하여 5 Beholder 2011-06-29 3978
384 구조론의 이름을 참칭했습니다. image 6 Beholder 2011-06-28 4030
383 영감을 주는 것이 예술이다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1-06-19 5005
» 검은백조는 없다. 3 르페 2011-06-16 4436
381 원명 교체기와 미중교체기 1 눈내리는 마을 2011-06-13 5148